부드러운 풍광에 서린 슬픈 역사
부드러운 풍광에 서린 슬픈 역사
  • 글 사진·진우석 출판팀장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름다운 우리 길 | ⑩ 소백산 자락길

▲ 초암사 가는 길의 송림지에서 본 소백산의 부드러운 모습. 멀리 잘 생긴 비로봉이 우뚝하다.

소수서원~금성단~초암사~달밭골~죽령~장림리 40.7km

우리나라에서 소백산(1440m)만큼 높고 밝으면서 부드러운 산세를 가진 곳도 드물다. 일찍이 도인 남사고는 “사람을 살리는 산”이라 했지만, 순흥에서 단종을 보호하려 했던 금성대군과 순흥 민초들은 억울한 죽음을 당했다. 소백산 자락길은 소백산에 서린 아픈 역사와 빼어난 풍광을 두루두루 품었다.


흙길이 얼마나 될까? 걷기 코스를 검토할 때마다 흙길을 걷고 싶은 마음에 지도를 뚫어져라 쳐다본다. 전국의 걷기 코스는 의외로 흙길이 적은데, 소백산 자락길 역시 마찬가지다. 헌데 눈이 휘둥그레지는 길이 들어왔다. 초암사에서 달밭재를 넘어 비로사로 이어지는 산길이다. 그곳은 소백산국립공원 지역으로 공식적으로 출입통제 구역이지만, 영주 산꾼들은 쉬쉬하면서 찾는 호젓한 길이다. 퇴계 이황 선생이 그 길을 통해 비로봉을 올랐다는 기록이 있어 더욱 흥미롭다.

▲ 청백리로 유명한 금계 황준량이 거닐던 금선정. 솔숲과 계곡이 시원한 정자다.

우리나라 최초이자 가장 아름다운 소수서원
소백산 자락길은 경북 영주과 충북 단양의 소백산 자락을 밟아간다. 지금까지 소수서원~초암사~달밭골~비로사~금선정~소백산역(희방사역)~죽령~장림리까지 40.7㎞ 구간에 길이 났다. 그 길을 검토하면서 죽령 일대는 이전에도 많이 가본 곳이라 빼고, 소수서원에서 금선정까지 걷는 하루 코스로 잡았다.

▲ 최초의 사액 서원인 소수서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서원이다.
소백산 자락길을 출발점은 소수서원. 주차장 관광안내소 옆에 소백산 자락길 안내판이 서 있다. 출발에 앞서 소백산과 눈을 맞추는 것이 순서다. 주차장 뒤로 소백산의 부드러운 능선이 잘 보이는데, 그중 가장 삼각형 형태로 우뚝한 것이 비로봉이다.

소수서원으로 들어서면 제일 먼저 울창한 솔숲이 반긴다. 이 소나무들은 흔히 학자수(學者樹)라 불리는데, 이는 ‘겨울을 이겨내는 소나무처럼 인생의 어려움을 이겨내는 참선비가 되라’는 의미라고 한다. 솔숲 오른편으로 당간지주가 눈길을 끈다. 이곳은 원래 숙수사(宿水寺)라는 절터였다. 숭유억불 정책에 따라 불교의 힘이 축소되고 유교의 세력이 커지던 조선 시대에는 이렇듯 절터가 서원터로 바뀌는 일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주세붕이 이곳에 서원터를 닦다가 땅에 묻힌 구리 3백여 근을 얻게 되고(숙수사의 종) 이것을 팔아 서적을 구입하는 한편 학생들의 장학전을 마련했다고 한다.

소수서원은 고풍스러운 옛 건물이 빼곡하지만 그 중심에 영정각이 있다. 주세붕은 서원을 건립하며 가장 먼저 순흥 출신의 유학자인 안향을 배향했다. 지금의 영정각에는 안향을 주향으로 안축과 안보, 그리고 주세붕이 모셔져 있다.

서원의 길은 담장 너머에 있는 길쭉한 사각형 연못 탁청지로 이어진다. 탁청지는 임진왜란을 전후해 겸암 류운룡이 풍기 군수로 재임할 때 조성한 연못이다. 이 연못과 서원의 담장 사이에 난 낙엽 쌓인 길은 경렴정까지 이어진다. 이 길은 짧지만 서원에서 가장 운치 있는 길이다. 풍기 군수 시절 퇴계 이황은 전임자였던 주세붕을 그리며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 소수서원 옆에 붙어 있는 선비촌.
소백산 남녘 빈터 옛 순흥 고을에
흰 구름 쌓인 곳에 죽계가 흐르도다.
인재를 길러 도를 높이니 그 공적 아니 거룩하리,
사당을 세워 어진 이를 높이는 것은 일찍 없었던 일.
영재들이 모여 큰 덕을 사모하니,
갈고 닦음이 벼슬하기 위함이 아니로세.
옛 어진 이를 못 뵈었으나 그 마음을 보았으리니
방당에 비친 달빛이 얼음같이 마음을 맑게 하리.

소수서원과 이어진 선비촌을 구경하고 나오면 청다리라 불리는 제월교가 나온다. 옛 기생들이 낳은 사생아를 이곳에 버렸는데, 자식 없는 집에서 데려다 길렀다고 한다. 제월교를 지나면 금성단에 닿는다.

▲ 금성대군의 영혼을 위로하는 금성단.

순흥에서는 금성대군을 소백산 산신, 단종은 태백산 산신으로 모신다. 그 내력에는 순흥의 뼈아픈 역사가 녹아 있다. 금성대군은 세종의 넷째 아들로 세조와는 형제지간이다. 세종의 여러 아들은 세조의 편에 가담해 부귀와 권세를 마음껏 누렸다. 그러나 금성대군은 홀로 단종을 옹호하다 순흥으로 유배되었고, 이곳에서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 순흥의 아픈 역사를 빠짐없이 나이테에 기록해 놓은 은행나무 압각수.
순흥의 아픈 역사를 나이테에 기록한 은행나무
1453년 수양대군의 야심은 단종의 오른팔이자 군부의 핵인 김종서를 제거해 버림으로써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이어 1455년, 눈엣가시였던 금성대군은 유배의 길에 오르게 된다. 그 해 수양대군이 단종을 핍박해 왕권을 접수하자 성삼문, 박팽년 등이 중심이 되어 단종복위를 도모하지만 실패하고 만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 영월로 유배되었고 금성대군은 다시 순흥으로 위리안치 되었다. 두 사람은 소백산 고치령을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었던 것이다. 금성대군은 당시 순흥부 부사 이보흠과 함께 모의, 고을 군사와 향리를 모아 단종복위를 계획했다. 그러나 계획은 사전에 발각된다.

금성단은 금성대군과 부사 이보흠, 그리고 이 사건에 연루되어 죽은 사림을 제사지내는 제단이다. 소박하고 쓸쓸한 제단 뒤로 비로봉에서 국망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아련하게 펼쳐져 더욱 가슴을 시리게 한다.

금성단 뒤에는 압각수라 부르는 거대한 은행나무가 1,100여 년이 넘게 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 나무는 순흥의 역사를 빠짐없이 나이테에 기록해 놓았다. 단종복위가 미수에 그치자 세조의 서슬 푸른 노여움이 순흥으로 떨어졌다. 복위에 관계한 선비들을 비롯해 수많은 순흥 민초들이 살육되어 그들의 피가 죽계천을 물들였다. 40리 아래쪽인 동촌리까지 피가 흘러내려 그 마을을 ‘피끝’이라 부를 정도였다.

▲ 금성단을 지나면 사과밭과 논이 펼쳐진 호젓한 길이 잠깐 이어진다.

세조는 ‘역모의 고장’ 순흥부를 폐부시켜 풍기군에 병합시켜 버린다. 순흥이 사라지자 압각수는 스스로 고사했다고 한다. 이 무렵 순흥 민초 사이에서는 ‘은행나무가 다시 살아나면 순흥이 회복되고, 순흥이 회복되면 노산(단종)이 복위된다’는 유행가가 불려졌다. 압각수는 그로부터 200년을 죽은 듯이 있다가 1643년 가지에 생기가 돌고 차츰 가지와 잎이 돋아나기 시작해 1682년에는 완전히 무성해졌다. 과연 노래처럼 1683년 순흥부는 환복, 단종 역시 복위되었다. 순흥 사람들은 금성대군을 원망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를 충절의 상징으로 흠모했다.

압각수를 지나면 사과밭으로 접어든다. 빨간 사과밭과 누렇게 익어가는 논 사이를 걷는 맛이 기막히다. 하지만 곧 도로를 만나고 길은 초암사로 이어진다. 지루한 길이지만 중간쯤 순흥 저수지(성류지)에 담긴 소백산 줄기가 근사하다. 이어 600년 된 느티나무 세 그루가 있는 삼괴정에 도착하는데, 이곳은 배순(裵純)의 점방(店房)이 있던 곳이라 하여 지명이 배점이기도 하다. 배순은 무쇠장이었지만 퇴계 선생이 소수서원 백운원에서 강학할 때 뜰 아래에서 자주 청강을 하다 선생의 눈에 들어 제자들과 함께 글을 배운 사람이다.

▲ 죽계구곡의 끝머리이자 달밭골의 시작인 초암사.

소백산의 숨은 계곡과 마을
배점리부터 초암사까지 유명한 죽계구곡이 펼쳐진다. 하지만 도로가 깔려 옛 멋을 잃었다. 초암사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부석사를 창건하기 전 초막을 얽었던 자리란 뜻에서 초암사라는 이름을 얻었다. 초암사를 지나 200m쯤 가면 달밭골과 석륜암계곡이 합류하는 지점이 나온다. 여기서 잣나무가 무성한 왼쪽으로 접어들어 징검다리를 건너면 호젓한 달밭골이 시작된다.

▲ 달밭골에는 5가구쯤 되는 농가가 자리 잡고 있다. 소백산 가장 깊은 품에서 사는 사람들이다.
달밭은 흔히 '달빛이 밝은 밭'이라고 해석하기 쉽지만 달밭골의 '달'은 원래 산의 고어다. 따라서 '달밭'은 '산에 있는 밭'을 말한다. 예전에 화전을 일구며 살아가던 사람들이 있어 이런 이름을 얻은 것이다. 제법 널찍한 산길에는 낙엽이 푹신한 양탄자처럼 깔려있다. 늦가을에는 얼마나 아름다울까.

계곡에 걸린 몇 개의 폭포를 지나면 통나무로 만든 외나무다리 건너고, 집이 한두 채 보이기 시작한다. 아직까지 소백산의 품을 떠나지 않은 달밭 마을이다. 고갯마루를 넘어 울창한 잣나무 숲길을 지나면 비로사에 닿는다. 680년(신라 문무왕 20) 의상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 이 절은 임진왜란 때 불타고 현대식으로 지어져 볼만한 게 없다.

▲ 달밭골은 계곡미가 빼어나지는 않지만 수수하고 수량이 풍부해서 좋다.

삼가리로 내려와 팍팍한 도로를 따르면 금계호가 나온다. 순흥저수지처럼 소백산이 담긴 모습이 아름답다. 금계호와 이어진 작은 야산을 타고 내려오면 금선정이다. 작은 계곡, 솔숲, 정자가 어울린 일품인 이곳은 퇴계의 제자인 금계 황준량이 거닐던 곳이다. 그의 사후 제자들이 정자를 건립했다고 한다. 금선정 아래로 내려서니 수려한 바위들이 흩어져 있다. 그곳에 앉아 탁족을 즐기며 소백산 자락길을 마무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