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도 조망 좋은 山이 있었네!
인천에도 조망 좋은 山이 있었네!
  • 글·김경선 기자l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푸마와 함께하는 KOREA TRAVEL 인천 ① 성주산~소래산 트레킹

▲ 소래산으로 오르는 길,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너머로 야트막한 거마산과 성주산 능선이 시원하게 조망됐다.

부천역~성주산~거마산~소래산~성주산~부천역…약 11km 원점회귀 코스, 4시간30분 소요

작지만 아기자기한 인천의 성주산과 소래산은 늘 곁에 있는 친구 같다. 어느 때고 마음만 먹으면 쉬이 정상을 내어주는 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만하다고 아름답지 않은 것은 아니다. 거대한 수도권의 고층 빌딩은 물론 서해바다까지 시원하게 조망되는 정상의 풍광은 이름 난 산 못지않은 감동을 안겨준다. 

‘인천’ 하면 딱히 떠오르는 산이 없다. 그다지 높은 산도, 이름 난 산도 없다. 하지만 알고 보면 인천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산들이 있다. 아담하지만 수려한 조망을 자랑하는 산, 소래산(299m)과 성주산(217m)이다.

인천광역시와 시흥시·부천시의 경계를 가르는 산줄기가 성주산~소래산 능선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산이다 보니 오르고 내리는 샛길이 무수히 많아 시민들의 훌륭한 산책로가 되어주는 산들이다. 무엇보다 산세가 높고 크진 않지만 인천의 산들은 아기자기한 산행의 맛과 탁월한 조망을 자랑한다. 그래서 대수롭지 않게 산에 오른 등산객들의 입에서 탄성이 흘러나오게 만드는 산들이 소래산과 성주산이다.

두 산을 잇는 산행은 들머리가 여럿이다. 그 중 대표적인 코스는 부천역~성주산~소래산~내원사 코스나, 부천역~성주산~소래산~소래산 입구(만의골) 코스다. 산이 워낙 아담해 두 산을 종주해도 3시간이면 충분해 남녀노소 누구나 산책하듯 가볍게 걸을 수 있는 구간이다. 취재진은 대중교통으로 연계하기 편한 부천역을 들머리로 삼고, 성주산과 소래산, 거마산을 잇는 원점회귀 구간을 코스로 정했다. 

▲ 성주산 정상에서 거마산으로 향하는 능선길 내내 철책이 이어졌다. 
성주산 정상은 철조망으로 막아 접근 불가
지하철 1호선 부천역 10번 출구. 혼잡한 역사를 나오자 맞은편으로 아담한 성주산이 보인다. 성주산은 마치 소가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와우산(臥牛山), 계곡마을의 지명을 따서 댓골산으로 불리던 산이다. 유심히 보면 소가 누워있는 듯도 한데, 대체로 야트막하고 펑퍼짐한 모양이다. 

사실 성주산의 이름은 1938년 일본 왕에게 참배를 하기 위해 소사면에 신사를 지은 이후 와우산에서 성주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당시 일제가 성주산(聖主山)으로 개명했고, 이후 지금의 성주산(聖柱山)으로 정착됐다. 결국 성주산이라는 이름이 일제의 잔재가 분명한데, ‘다시 옛 이름을 찾아주는 것은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든다.

부천역에서 성주산 방향으로 찻길을 건너 농협 사이 골목길을 5분 정도 걸어가니 펄벅기념관 이정표가 보였다. ‘이렇게 외딴 동네에 어떻게 펄벅기념관이 생겼을까’ 궁금해 기념관으로 들어가니 펄벅여사와 부천의 인연이 자세히 소개돼 있었다. 소설 ‘살아있는 갈대’를 집필하는 동안 한국을 방문한 펄벅 여사는 전쟁고아들의 딱한 사연을 접하고 훗날 다시 한국을 찾았다고 한다. 1965년 펄벅재단 한국지부를 설립한 펄벅 여사는 2년 후 부천 소사읍 심곡리(지금의 펄벅기념과 자리)에 소사희망원을 열었고, 그녀의 생이 끝나는 날까지 한국의 전쟁고아와 다문화가정 아이들을 도왔다고 한다. 

▲ 색이 바랜 단풍과 수북한 낙엽이 운치를 더해주는 성주산 산길.

기념관을 지나자 동해리젠시 빌라 우측에 성주산으로 오르는 산길이 보였다. 이정표는 없지만 주민들이 많이 다녀서인지 계단길이 만들어져 있었다. 산은 늦가을의 정취가 완연했다. 수북한 낙엽이 포근한 양탄자길을 만들어 놓고 등산객들을 반겼다. 고혹적인 산색에 취해 산길을 오른 지 20여 분, 첫 번째 갈림길을 만났다. 하지만 이정표는 없었다. 지나는 등산객들에게 물어보니 어느 길로 가도 성주산 정상이란다. 목탁 소리를 따라 왼쪽 산길을 선택하니 곧 자그마한 사찰 수려사를 만났다. 수려사 옆 산길을 5분 정도 올라섰을까. 드디어 성주산 주능선길이다. 

주능선 갈림길 왼쪽은 구름다리를 지나 하우고개로 이어지고, 오른쪽은 성주산 정상으로 이어진다. 성주산 동쪽 능선에는 하우고개와 여우고개 두 개의 고갯마루가 있는데, 두 고갯길의 지명은 성주산처럼 소와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여우고개의 여우는 우리가 흔히 아는 개과의 동물이 아니라 ‘소같이 생겼다’는 뜻의 ‘여우(如牛)’로 고갯마루의 형상이 마치 소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하우고개에는 더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옛날 이 고개에 소래와 김포의 장돌뱅이들이 많이 다녀 늘 산적들이 들끓었는데, 장돌뱅이들이 산적의 습격을 피하기 위해 가파른 고갯길을 급하게 넘었고 숨이 턱 끝까지 차올라 “하우~, 하우~” 하고 가쁜 숨을 몰아냈다고 한다. 이것이 유래가 되어 하우고개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성주산과 소래산 곳곳에는 시민들이 쉴 수 있도록 여러 곳에 벤치가 조성돼 있었다.

철책 따르는 능선길 유순하고 완만해
갈림길에서 정상까지는 200m가 채 되지 않는 듯했다. 정상은 군사보호시설로 지정돼 전체가 철책으로 둘러싸여 시원한 조망은 없었다. 아쉽지만 탁 트인 조망은 소래산으로 미루고 철책을 따라 오른쪽 능선을 따랐다. 성주산에서 소래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왼쪽 능선을 따르는 것이 훨씬 빠르지만 거마산을 경유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능선을 따라야하기 때문이다.

능선길은 순하고 완만하게 이어졌다. 야트막한 산세는 오르내림이 심하지 않아 가족이 함께 산행하기 좋은 코스다. 그래서일까. 평일 오전임에도 불구하고 삼삼오오 무리를 지어 산을 찾은 주민들이 여럿이다. 그렇게 철조망을 따라 걷기를 10여 분, 산길이 와우고개에 닿았다. 그런데 고갯마루를 지나자마다 등산로가 능선길을 벗어나더니 아파트 단지로 이어졌고, 아파트 단지를 지나자마자 이내 능선으로 다시 붙었다. 

거마산 정상은 이렇다 할 이정표나 표지석이 없어 그냥 지나치기 쉬울만한 곳이다. 등산객들은 철조망이 가로막은 거마산 정상 대신 바로 밑 공터에서 쉬어가곤 하는데, 정상은 맛은 없지만 소래산과 인천 시내가 한 눈에 보이는 전망 포인트다.

▲ 소래산으로 오른 산길은 줄곧 나무 계단길이 조성돼 있었다.

거마산 공터를 내려서자 매우 가파른 내리막길이 시작됐다. 내리막길을 따른 지 10여 분, 능선 내내 따라붙던 철조망이 모습을 감췄다. 철조망이 사라지자 삭막했던 능선길이 고즈넉한 숲길로 바뀌더니 자그마한 개울이 길을 막아섰다. 소래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 개울을 건너야한다.

개울을 건너 마을길을 따라 서울외곽순환도로 고가 밑을 지나자 소래산 입구 이정표가 보였다. 이정표를 따라 널찍한 산길을 5분 정도 따르자 철탑 갈림길. 왼쪽은 성주산, 오른쪽은 소래산 방향이다. 오른쪽 소래산 방향으로 접어들자 가파른 오르막길이 시작됐다. 소래산으로 오르는 산길은 대부분 나무 계단길을 만들어 놓아 걷기가 수월하다. 짧지만 급한 오르막을 따르길 20여 분, 드디어 소래산 정상이다.

▲ 야트막하지만 조망만큼은 탁월한 소래산 정상. 늘 등산객들이 북적인다.

탁 트인 조망 자랑하는 소래산 정상
정상에 서자 막혔던 가슴이 뻥 뚫리는 기분이다. 한마디로 탁 트여있었다. 송도신도시의 고층빌딩과 문학경기장 너머로 소래포구와 잿빛 서해바다가 시원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서울쪽으로는 북한산과 관악산까지 또렷하게 보였다. 야트막한 산이지만 조망만큼은 정말 장쾌하다. 

소래산은 660년경 당나라 소정방이 신라와 연합해 백제를 공략하고자 중국 산둥(山東)성의 라이저우(萊州)를 출발해 이곳으로 왔다 하여 소정방의 ‘소(蘇)’ 자와 라이저우의 ‘내(萊)’ 자를 합쳐 ‘소래산’으로 불렀다고 전한다. 이 외에도 소라처럼 생긴 지형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솔숲과 내가 어우러졌다 하여 ‘솔내’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 다양한 유래가 전해지고 있다.

▲ 소래산 정상에서 바라 본 시흥시 일대.

산과 들은 이제 겨울채비가 한창이다. 막바지 가을색은 너무 찬란해 눈이 시릴 정도다. 정상의 풍광을 한 아름 눈에 담고 성주산 방면으로 다시 발길을 돌렸다. 정상에서 하산을 시작한 지 20분, 다시 철탑 갈림길을 만났다. 왼쪽 산길로 내려서면 소래산 입구, 직진하면 성주산이다. 직진해 성주산 방향으로 접어들어 야트막한 고갯마루를 넘어서자 다시 철책길이 시작됐다.

철책을 따르는 산길은 완만한 오르막이다. 늦가을 햇살이 내리쬐는 능선길, 쌀쌀한 바람에도 훈훈한 기운이 느껴졌다. 큰 산은 없다지만 성주산과 소래산을 잇는 능선길은 인천과 부천, 시흥 시민들에게는 최고의 산책로다. 거대한 고봉이 주는 장쾌한 맛은 없지만 아기자기한 봉우리를 넘으며 가족 혹은 친구들과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산행의 또 다른 즐거움이 아닐까. 늦가을의 고즈넉한 정취와 초겨울의 청초함이 가득한 11월의 오후, 산은 조용히 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