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의 눈물처럼 후두둑…“동백꽃 보고 왔어요”
여인의 눈물처럼 후두둑…“동백꽃 보고 왔어요”
  • 글 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컬럼비아스포츠웨어>와 함께 하는 우리 강산 걷기 ② 전북 고창 선운산

▲ 수리봉을 지나가는 길.
꽃샘추위가 갈짓자 걸음으로 물러가던 어느 봄날. 무심하게 사라지는 봄을 바라보며 눈물 닮은 꽃송이가 떨어진다. 남편이 돌아오기만 기다리고 기다리다, 결국 지쳐 아스라진 어느 아내의 애틋함에 뿌리를 내린 동백. 선홍빛 꽃잎에 애써 감춘 기다림이 오늘도 한 방울 툭, 하고 떨어진다.


남도 전역이 봄에 취해 한바탕 홍역을 시작하는 4월, <컬럼비아스포츠웨어(대표 조성래)>가 광주 지역 고객들과 함께 길 위에 올랐다. 이번 목적지는 동백숲이 장관을 이루는 고창 선운산. 동백꽃을 호위병으로 둔 천년고찰 선운사에서 시작해 수리봉(336m)을 거쳐 참당암에 들러 낙조대에 오른 후 장사송, 진흥굴을 거쳐 선운사 녹차밭을 따라 내려올 계획이다.

동백의 꽃말, ‘애틋한 기다림’

▲ 선홍빛 동백꽃이 수줍게 고개를 든다.
동백꽃의 명성이 사찰을 압도하기 때문일까? 선운사는 일년 중 어느 때 가도 좋으련만 동백꽃이 필 때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아든다. 동백숲을 품어 유명한 선운사 덕분에 산 이름마저 같아진 선운산의 본명은 도솔산. 도솔산의 정상, 수리봉은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릴 만큼 빼어난 계곡미를 자랑한다.

이번 트레킹의 메인은 무엇보다도 선운사 동백꽃(천연기념물 제184호)이다. 시인에겐 노래를, 가수에겐 시를 선물한 동백꽃이 선운사 대웅보전 뒤편 산비탈을 가득 메우고 있다. 수령이 500년 가량 되는 동백나무 삼천 그루가 대웅전을 보호하듯 펼쳐진 모습에 잠시 아뜩하고 아련해지는 건 비단 이 장면이 생경하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잠시 호흡을 고르고 찬찬히 돌아보니 문득 궁금해진다. 누가 이 많은 동백을 심은 걸까? 왜?

선운사 동백은 선운사가 창건된 577년(백제 위덕왕 24)쯤에 처음 심었으리라 짐작하고 있다. 물론 확실치는 않다. 산불로 도량 전체가 화마에 사라질 뻔한 적이 많은 탓에 불이 잘 붙지 않는 동백나무를 방화나무로 심었겠거니 추측할 뿐이다. 절절한 기다림을 품고 활짝 핀 꽃송이가 통째로 떨어져 버리고 마는, 너무 뜨거워서 아린 동백이 불길을 막는 데 쓰이다니.

고창은 동백나무 자생지 중 꽤 늦게까지 동백꽃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남도의 동백꽃이 시들지도 않은 채로 툭툭 떨어질 때 선운사 뒤편의 동백은 그제야 꽃을 피우기 시작해 3월말에서 5월 초순가량까지 피고 진다. 짙푸른 잎에 묻힌 선홍빛 동백꽃송이가 애잔하다.

선운산, 동백뿐만이 아니다
선운사 동백꽃에 흠뻑 취한 뒤 시작된 선운산 트레킹. 도솔산이라고도 불리는 선운산 일대는 원래 해적과 산적들이 득실거리던 도둑 소굴이었는데 검단선사가 나타나 소금과 숯 굽는 법을 가르쳐 불교도로 교화시키고 577년 선운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창건 당시 89개에 달하던 절집과 3000여명의 승려가 수도하던 대사찰은 대부분 정유재란(1597년) 때 소실되고 현재는 대웅전과 도솔암, 참당암, 동운암, 석상암 등만이 남아있다.

선운산은 산세가 온화하고 부드러워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게다가 오늘 루트는 석상암을 거쳐 수리봉에 올랐다 낙조대와 천마봉을 돌아 내려오는 코스. 성인 걸음으로 넉넉잡아 4시간이면 충분히 걸을 수 있다. 신발끈을 조여 매고 모자를 고쳐 쓴다.

▲ “안녕, 안녕!” 천마봉에서 내려오는 길에 만난 컬럼비아의 우리강산 걷기 참가자들.

선운사에서 석상암으로 가는 길 오른편에는 차밭이 가득하다. 곧 곡우가 지나면 이곳은 봄기운을 흠뻑 머금은 생명력으로 채워질 것이다. 차밭을 끼고 이어지는 부드러운 흙길위에 퍼지는 봄냄새가 은근하다.
어떤 산도 정상은 쉽게 내보이지 않는다고 했던가? 선운산의 정상, 수리봉에 가까워지자 길이 가파르다. 그래도 푸른 기운이 도는 길에 올라 신이 난 참가자들은 연신 싱글벙글이다. 코 끝의 땀방울도 덩달아 신이 난다.

수리봉에서 15분 가량 걸으니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보물 제803호)이다. 실은, 도둑이 살기에는 너무 개방적인 선운사보다는 산 안자락에 자리한 창담암이 검단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라는 설도 전해지고 있다. 속 시원히 답해주면 좋으련만 1500여 년의 시간을 품은 사찰은 조용히 자리를 지킬 뿐 아무런 답이 없다.
태양이 잠드는 것을 바라볼 수 있는 낙조대로 향한다. 날선 암봉이 가득한 이곳은 인기 드라마 ‘대장금’의 촬영으로 더 유명해졌다. 낙조대에서 붉게 물드는 태양을 보지 못한 아쉬움은 천마봉을 바라보며 맛보는 간식으로 대신한다.

▲ “김치!” 좋은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은 언제든 즐겁다.

짧은 휴식은 언제나 달디 달다. 천마봉을 거쳐 도솔암 내원궁을 지나자 높이 17m에 달하는 동불암 마애불(보물 제1200호)이 보인다. 각이 진 얼굴에 양끝이 올라간 눈과 꾹 다문 입매가 ‘부처님답다’기 보다는 위압적인 느낌이다. 이런 얼굴표정과 대담한 선각 등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 초 지방 호족들이 만든 마애불로 여겨진다. 여기에 더해진 전설 하나. 마애불 배꼽에는 신기한 비결이 있어 그것이 세상에 나오는 날 한양이 망하고 비결에 손을 댄 자는 벼락을 맞는다는 전설과 함께 1892년 손화중과 동학도들이 비결이 꺼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 동불암 마애불의 엄한 표정에 잠시 움찔!
마애불 근처의 도솔암을 지나자 600년 동안 뿌리를 내리고 있는 장사송(천연기념물 제354호)이 있다. 바로 옆에 자리한 진흥굴 덕분에 진흥송이라 불리기도 한다. 높이가 무려 28m, 나무둘레는 3m에 이르는데 여러 갈래로 갈라진 가지가 부챗살처럼 퍼져 있다.

다시 부드러운 흙길이 시작된다. 나른해진 봄공기에 발길을 재촉하니 침이 마를 만도 한데 쉴 틈도 주지 않고 푸릇푸릇한 잎새가 펼쳐진다. 곧 이곳은 봄바람과 여름 공기를 머금은 뒤, 어김없이 이번 가을에도 꽃무릇의 붉은 눈물로 채워질 것이다.

동백을 노래한 그들은 아마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봄의 정점을 찍고 사라지는, 시들기 전 생생한 꽃송이 통째 떨어져 버리는 동백의 마음을. 활짝 핀 채로 떨어진 동백꽃을 보며 울컥한 적이 있는 이들은 그래도 사랑을 아는 것이 아닐까?

이제 빗방울 소리 젖어드는 봄밤이면 기억할 것이다. 알알이 떨어지던 눈물 닮은 동백 방울을. 송창식, 그가 노래한다.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바람 불어 설운 날에 말이예요. 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예요. 나를 두고 가시려는 님아, 선운사 동백꽃 숲으로 와요. 떨어지는 꽃송이가 내 마음처럼 하도 슬퍼서, 당신은 그만 당신은 그만 못 떠나실 거에요….’

▲ <컬럼비아스포츠웨어>에서 진행한 선운산 트레킹 참가자들의 단체사진.

Information TIP
빼놓을 수 없는 즐길거리, 고창별미

고창에 왔다면 꼭 맛봐야 할 것은? 바로 복분자와 풍천장어.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데서 잡히는 풍천장어와 산자락에서 자란 산딸기 열매인 복분자로 담근 술은 고창 특산품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 장어구이에 복분자술을 곁들이면 금상첨화.

선운사 입구에 풍천장어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이 아주 많다. 그중에서 선운사 입구 삼거리에 있는 선운사풍천장어집(063-562-5878)이 잘 한다.
장어정식 1인분에 1만6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