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의 꿈을 품고 고갯길 넘던 선비가 되어…
청운의 꿈을 품고 고갯길 넘던 선비가 되어…
  • 글 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컬럼비아스포츠웨어>와 함께 하는 우리 강산 걷기 ③ 경북 문경새재~주흘산

▲ 주흘산 주봉에서 바라본 전경. 날이 뿌옇기는 하지만 문경 읍내가 훤히 내려다보인다.

조선시대, 한양과 부산 동래를 잇던 영남대로의 가장 큰 고갯길은? 영남에서 거둬들인 세곡이나 임금님께 바칠 진상품 운송은 물론 장원급제의 꿈을 안고 과거를 보러 나선 영남의 선비들도 넘어야 했던 길. 그래서 과것길, 한양 나들이길이라고도 불렀던 길은? 바로 문경새재다.


문경은 대미산, 조령산, 회양산, 대야산, 주흘산 등 1000m 내외의 산들이 솟아있는 산악지대로, 예로부터 문경하면 새재를 떠올릴 만큼 문경새재의 명성이 높았다.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높은 고개라는 유래를 지닌 ‘새재’의 명칭만큼 벅찬 고갯길 문경새재. 얼마나 넘기 힘들었으면 ‘문경새재는 웬 고개인고, 구비야 구비야 눈물이 난다’(민요 ‘진도 아리랑’ 중에서)라고 했을까. 조선시대 한양과 동래를 잇는 영남대로의 중심에 선 구비 구비 고갯길엔 그 옛날 한양을 오가던 선비와 장돌뱅이의 꿈과 땀, 그리고 눈물이 스며있다.

문경새재를 품은 주흘산

▲ 문경 고갯길을 걸으며 만난 다리 위에선 또 다른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중 조령산(1026m)과 마주보고 있는 주흘산(1106m)은 문경새재를 지키고 있는 수문장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영봉이지만 산세를 대표하는 봉우리는 주봉(1075m)으로 관봉(1039m)과 6개의 암봉으로 된 부봉을 거느리고 있다. 그리고 여기 우리 강산 걷기를 진행중인 <컬럼비아스포츠웨어(대표 조성래)>가 대구 고객들과 함께 길 위에 올랐다.

트레킹 코스는 제1관문(주흘관)에서 여궁폭포를 지나 주봉에 오른 후 꽃밭서들을 통과해 제2관문(조문관)을 지나 다시 제1관문으로 내려오는 것으로 잡았다. 제2관문에서 새재계곡을 따라 흐르는 길이 바로 우리 조상들의 발길이 곳곳에 담긴 영남대로의 일부, 문경 고갯길이다.

제1관문에서 바로 제2관문으로 향하면 처음부터 고갯길에 오를 수 있지만 이왕 문경에 왔으니 백두대간을 베개 삼아 누워있는 주흘산 자락으로 향한다. 약간 오르막인 길을 40여분쯤 걸으니 여인의 모습을 닮아 ‘여궁폭포’라고 부르는 폭포가 20m 높이에서 떨어지며 사람들을 반긴다. 그리 시원한 물살은 아니지만 코끝에 맺힌 땀을 식혀주기엔 충분하다. 

푸릇하다 못해 울창한 나뭇잎들이 왕성한 생명력을 뿜어댄다. 중간 중간 때맞춰 불어오는 실바람에 세상 근심 따위는 잊혀진 지 오래다. 푸른 숲에 감싸여 숲 밖의 것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별 문제되지 않는다.

얼마나 걸었을까? 혜국사 갈림목에서 오른쪽 길로 들어서니 아름드리 소나무숲이다. 솔향에 취해 흥얼거리던 것도 잠깐, 가파른 사면길로 접어들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조용해 질 때쯤, 샘터를 품은 대궐터에 도착한다. 주봉에 달하기 전 마지막 샘터이므로 이곳에서 식수를 충분히 마련해야 한다.

목젖을 적시고 대궐터를 지나 더욱 가팔라진 길을 거슬러 1.5km 정도 오르자 드디어 주봉, 주흘산이다. 발아래 펼쳐지는 문경읍 풍경에 가슴이 뛴다. 전체적으로 학이 날개를 펼치며 상하기 직전의 모습을 하고 있는 주흘산에서 주봉은 학의 머리에 해당한다.

▲ 영남대로를 관통하는 제2관문.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의 수많은 발자국이 어딘가에 새겨져 있을 텐데.

고갯길 사이에서 들려오는 옛 나그네들의 목소리
영남대로를 사이에 두고 조령산과 마주보고 있는 주흘산에서 1시간쯤 자잘한 자갈밭을 내려오면 진달래꽃과 물박달나무 군락지 꽃밭서들에 도착한다. 길 한켠에는 지나던 이들이 소원을 빌며 세워놓은 수많은 돌탑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과연 이곳에 누가 이 많은 돌탑을 세웠을까?

혹여 장원급제의 꿈을 안고 한양으로 향하던 선비들의, 당시 청춘들의 야망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닐까? 따갑게 내리쬐는 태양에 눈이 부시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정성껏 돌을 쌓는 참가자들의 모습에서 조선시대 아낙의, 장돌뱅이의, 선비의 모습이 겹쳐지는 것은 왜일까?

소박하게 그러나 간절하게 쌓여 있는 돌탑을 뒤로 하고 떨어지지 않는 걸음을 재촉한다. 다시 자갈밭이다. 중간 중간 계류를 만날 때마다 더위에 쫓긴 이들은 걸음을 멈추고 한 박자 쉬어간다.

▲ 신이 난 참가자들이 다리를 건너며 개구진 포즈를 취해본다.

자갈밭이 부드러운 흙길로 변하는가 싶더니 조곡관이라 부르는 제2관문이 눈앞에 나타난다. 수백 년 동안 고갯길을 품어온 성문은 오늘도 묵묵히 자리를 지킬 뿐이다. 그 옛날, 어떤 이는 이 고갯길을 금의환향하며 넘었을 것이고 또 어떤 이는 북받쳐 오르는 눈물을 꾹꾹 참아내며 넘었을 것을 생각하니 잠시 기분이 묘하다. 고갯길 어디선가 짚신을 가득 이고 종종걸음으로 한양을 향하는 선비의 모습이 보이는 것 같기도 하고 괴나리봇짐을 한 가득 짊어진 채 끙끙거리는 장돌뱅이가 서성이는 것 같기도 하다. 서로 보이지 않을 뿐 여전히 조상들은 조상들대로 후손인 우리는 우리대로 이 고갯길을 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엄마, 깜짝이야!”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칠 수 있나. 조곡폭포 앞에서 슬금슬금 장난기가 발동한 참가자들.
잠깐 낮꿈이라도 꾼 것일까? 조곡폭포 앞에서 신나게 장난치던 이들이 뿌린 물방울에 퍼득 정신이 든다. 한글고어로 쓰인 ‘산불됴심비’에 씨익 웃음이 나는데, 똑똑한 꼬마 녀석이 글씨가 틀렸다고 자꾸 우겨댄다. 결코 짧지 않은 길이지만 뭐가 그리 아쉬운 지 일행의 발걸음이 자꾸만 느려진다. 곳곳에 숨쉬고 있는 선조들의 흔적이 무조건 반가운 것을 보니, 걷기 좋아하는 우리는 어쩌면 그 옛날 이 길을 무수히 넘나들던 장돌뱅이는 아니었을까?

어느덧 조선시대 신·구 경상도 관찰사가 업무 인수인계를 하던 교귀정에 도착한다. 팔왕폭포를 지나 주막에 달하자 벌써 누군가가 주막 마루에 누워있다. 참가자 중 하나가 그냥은 못 지나치겠다면 마루에 털썩 앉는다. 모르긴 몰라도 탁주 한사발이 간절했을 터. 탁주 대신 마른침을 꿀꺽 삼키고 걸음을 이으니 상처 난 소나무가 무표정하게 서있다. 일제가 송진을 채취하려고 V자로 파놓은 생채기가 아직도 남아 있다.

사람들의 이동이 많았던 고갯길이기에 선조들의 숙식을 제공하던 국영여관이 있던 조령원터, 지름틀 바위를 지나자 KBS촬영장이 보인다. 문경새재가 옛 명성을 되찾는 데 일조한 것은 바로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 드라마가 인기를 끌자 문경새재에 마련한 야외 찰영장을 구경하러 사람들이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그후 문경새재는 국내 최대의 사극촬영장소로 변신했다. 지금은 ‘대왕 세종’을 촬영중이다. 문경 고갯길에서는 과거와 현재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지나간 이들의 발자국만큼 많은 얘깃거리를 지닌 문경새재의 흙길은 맨발로도 걷기 좋다. 흙길을 밟으며 만나는 옛길 위에서 또 어떤 이야기가 들려오는지 귀 기울여 보자. 조선 시대 어여쁜 낭자 한명이 슬며시 다가와 버드나무 이파리 띄운 물 한 사발 건넬지도 모를 일이니.
▲ 주흘산 산행에 참가한 <컬럼비아스포츠웨어> 대구가족들과 함께한 단체사진 촬영.

Information TIP
문경 묵조밥

가까운 곳에 문경온천이 있으며, 먹을거리로는 새재동동주·묵조밥·문경약돌돼지 등이 유명하다. 그중 도토리묵과 조밥을 함께 비벼서 먹는 묵조밥은 저렴하고 깔끔해 관광객들에게 인기다.

된장찌개를 비롯해 연근, 도라지, 참비름나물 10여 가지의 반찬을 깔끔하게 내놓는 문경새재 입구의 소문난식당(054-572-2255)이 유명하다. 도토리묵조밥 6000원, 청포묵조밥 8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