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심’에 우뚝 솟은 도시민의 걷기 명소
‘서울 중심’에 우뚝 솟은 도시민의 걷기 명소
  • 이두용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푸마와 함께하는 KOREA TRAVEL 서울성곽 ④ 남산

▲ 청명한 하늘 아래로 물로 씻어낸 듯 깨끗한 서울의 모습에 참가자들은 한마디씩 탄성을 자아냈다.

장충단~장충동 성곽길~자유총연맹~남산봉수대~숭례문…약 4.7km 3시간 소요

서울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꼭 찾는 명소 중 그 으뜸은 예나 지금이나 남산이 아닐까. 서울 곳곳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N서울타워와 산을 오르내리는 즐거움을 두둑하게 채워주는 케이블카는 방문객들에게 늘 최고의 인기다. 그런 이유로 남산 산책은 서울 중심에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호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해설사가 시대에 따라 성벽을 쌓은 축조 방식에 대해서 진지하게 설명하고 있다.
올 4월 서울시는 GPS(위성위치파악시스템) 자료를 근거로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이 남산 정상부에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서울의 중심은 광화문 사거리에 있는 도로원표(도로 기점이나 종점 등을 표시) 지점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시는 도로원표는 일본 강점기인 1914년 지방 18개 도시와 거리를 표시하고자 설치됐을 뿐 서울의 중심은 아니라고 발표했다. 발표와 함께 서울시는 N서울타워 옆에 서울의 중심을 표시하는 상징물을 설치했다. 남산이 명실상부 서울의 중심이 된 것이다.

서울의 중심에 우뚝 솟아있는 남산(262m)의 원래 이름은 목멱산(木覓山)인데, 목멱산이란 말도 옛말로 ‘마뫼’라 하여 곧 남산을 뜻한다. 남산은 북악산(北岳山)·낙산(駱山)·인왕산(仁王山)과 함께 서울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산 중 하나다. 조선 초기 서울에 왕도(王都)를 정할 때, 이들 산과 더불어 그 능선을 따라 18.2km의 성곽이 쌓여졌으나, 오늘날은 일부 성곽을 포함한 102만9300㎡ 산지가 남산공원으로 지정돼 서울에서 가장 넓은 공원이 됐다.

남산이 처음 시민공원으로 개발된 것은 1910년으로, 당시 공원 표지로 세웠던 ‘한양공원(漢陽公園)’이란 고종(高宗)의 친필 석비가 지금도 통일원 청사 옆에 보존돼 있다.

장충동 언덕길 품은 성곽길
전국적으로 걷기열풍이 거세지고 있는 요즘, 서울시와 관할 구에서 성곽을 따라 걸으며 역사적 의미까지 되새길 수 있는 걷기로 서울성곽 걷기를 추진 중이다. 서울시민의 나들이·데이트코스로 오래전부터 사랑받아온 남산도 장충동에서 숭례문을 잇는 성곽을 따라 걸으며 남산공원까지 만끽할 수 있는 길이 생겼다. 지난 14일, 남산이 속해있는 중구의 문화원에서 ‘해설사와 체험하는 남산 성곽길 걷기행사’를 진행한다 하여 기대에 부풀어 신청을 했다.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 6번 출구 앞에 위치한 장충단공원 사각정에 모인 참가자들은 다소 쌀쌀한 아침에도 불구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첫 걸음을 내딛었다.

▲ 장춘단 뒤쪽 성곽길 좌측으로 나있는 흙길을 따라 내려가면 자유총연맹 건물이 나온다.

남산 성곽길은 원래 장충체육관 뒤편에서 시작한다. 아니 광희문과 연결된 서울성곽이 그리로 지나간다 하는 게 더 정확하겠다. 18.2km의 서울성곽 중에서 현재 형태라도 남아있는 부분은 11.4km. 그 중 그나마 온전한 모양을 갖춘 곳이 장충동 성곽이라고 한다. 나머지 약 6.7km는 성곽의 형태가 완전히 사라져 흔적도 없다.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장충체육관을 지나 동호로 가에 있는 첫 번째 골목으로 접어드니 골목길을 따라 우측 편에 길게 연결된 성곽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언덕을 따라 연결된 성곽은 아래쪽 주택가를 내려다보며 호위하는 군주의 성처럼 도심을 감싸고 있는 듯 했다. 성곽의 형태가 그나마 온전하게 남아있고 훼손되거나 유실된 부분도 많은 부분 복원돼 있어 더욱 그렇게 보이는지도 모른다.

중구청에서 ‘서울 성곽 올레길’이라 칭하고 성곽을 따라 걸을 수 있게 다양한 표지판을 세우고 나무 데크를 연결해 예쁜 길을 만들어 놓아 성곽을 따라 걷기에도 그만이다.

▲ 남산으로 향하는 길은 숲이 울창하고 길이 아름다워 평소에도 산책과 등산을 즐기는 방문객이 많다.
성곽의 형태가 온전하다보니 시대에 따라 성벽을 쌓은 축조 방식도 관찰할 수 있다.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쌓고 돌 사이에 굄돌을 한 부분은 태조 때, 2X3척으로 다듬은 직사각형 돌을 사용해 아래쪽은 큰 돌,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은 돌로 쌓은 것은 세종 때 쌓은 것이다. 부분마다 2척 크기의 정사각형 돌을 네 귀에 꼭 맞춰 수직으로 쌓은 것들이 있는데 이건 조선 후기인 숙종 때 보수한 것이라고 한다.

600여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성곽이 여러 차례 개축되거나 보수되긴 했지만 산 능선을 따라 쌓아졌음에도 훼손되거나 유실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어느 한 곳 기초 부분이라도 내려않은 곳이 없다고 한다. 이것만으로도 당시 우리 조상이 얼마나 정교한 기술을 가졌었는지를 여실히 증명하는 증거가 아닐까.

신라호텔 뒤편으로 이어진 성곽을 끝까지 따라서 올라가면 끊어진 부분 위쪽으로 쉬었다 갈 수 있는 정자가 하나 나온다. 일행들과 정자에 올라 아래로 보이는 남산과 서울 시내의 풍광을 눈요기 삼아 잠시 쉬었다.

나라의 상황을 알렸던 남산

▲ 봉수대는 과거의 통신수단으로 거치하는 횃불의 수로 국가의 위급상황을 알렸다.
정자에서 올라왔던 길 좌측으로 나있는 흙길을 따라 내려가면 자유총연맹 건물이 나온다. 이곳은 1954년 아시아민족반공연맹으로 출범한 곳으로 국가안보와 국제협력에 관련한 업무를 하는 곳이다. 자유총연맹 정문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남산공원이라 쓰여 있는 큼지막한 안내판을 지나 국립극장 입구를 뒤로 하고 남산 길로 접어들었다.

이 길은 숲이 울창하고 길이 아름다워 평소에도 산책과 등산을 즐기는 방문객이 많다. 가을 색을 머금은 나무들이 시원한 바람에 가지를 흔들며 반긴다.

▲ 관광객들은 이곳 남산 분수대 인근 공원에서 N서울타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다.
남산의 성곽길은 장충동에서 본 성과 달리 성의 바깥쪽이 아닌 안쪽이어서 성곽의 전체적인 모습이 아니라 여장 부분인 윗부분만 볼 수 있다. 남산 남측 순환로를 따라 연결된 성곽은 남산의 거의 정상까지 가지런한 모습으로 남아있다. 순환로의 잘 닦여진 오르막이 끝나면 남산의 상징으로서 남산타워라 불리던 N서울타워가 눈앞에 나타난다.

N서울타워는 서울 내 최고의 명소답게 광장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다. 일본이나 중국에서 온 단체 관광객들도 여기저기서 즐거운 모습으로 타워를 배경삼아 사진을 찍고 있었다.

▲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뒤 현재 팔각정이 있는 자리에 국사당을 짓고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광장 한편에는 팔각정이 있는데 이 자리가 예전에 국사당이 있던 자리로, 팔각정 옆에 국사당터 표석이 세워 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뒤 이곳에 목멱산신을 모시는 국사당을 짓고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은 우리 국사당을 인왕산으로 옮기고 그 자리에 일본식 신사인 조선신궁을 세워 일본 천왕의 신주를 모셨다. 1945년 광복 후 조선신궁은 일본인들이 스스로 철거해 일본으로 옮겼다고 한다.

그 옆에는 봉수대가 자리한다. 서울에는 무악동, 남산, 아차산에 봉수대지가 있는데 남산에는 5개의 봉수대를 복원해 놓았다. 과거의 통신수단인 봉수대는 거치하는 횃불의 수로 국가의 위급상황을 알렸다. 예를 들어 평상시는 1개의 횃불을, 적이 나타나면 2개, 경계에 접근하면 3개, 경계를 침범하면 4개, 접전하게 되면 5개를 올려 상황을 전달했다고 한다. 해설사의 진지한 설명에 일행 중 일부는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고 받아 적기도 했다.

▲ 남산 성곽길은 성의 안쪽이여서 성곽의 전체적인 모습이 아닌 여장부분인 윗부분만 볼 수 있다.

서울성곽의 정문, 숭례문
봉수대 옆으로 난 하산 길을 따라 발걸음을 옮겼다. 하산하는 길옆으로 N서울타워 광장에서 보이지 않던 성곽이 다시 따라붙는다. 남산의 성곽은 성의 윗부분인 여장이 전부라고는 하지만 옷소매와 목깃에 수놓은 레이스마냥 남산의 울긋불긋한 단풍과 어울려 즐거움을 더한다.

케이블카 승강장을 지나면 남산 성곽길 볼거리의 하이라이트인 전망대가 나온다.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는 풍광은 실로 대단하다. 그 어디에서 서울 곳곳을 이리도 꼼꼼하게 내려다 볼 수 있을까. 청명한 하늘 아래로 물로 씻어낸 듯 깨끗한 서울의 모습에 참가자들은 한마디씩 탄성을 자아낸다.

▲ 축조된 성이 부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축조한 사람이 책임을 진다는 의미로 이름을 새겨 넣었다.
전망대 즈음에서 성곽은 다시 끊긴다. 이곳에서 조금만 내려오면 남산분수대가 나오고 그 아래로 옛 남산과학관인 서울시 교육연구정보원건물이 서 있다. 이곳을 지나 계단을 따라 내려와 길을 건너면 힐튼호텔 앞인 도동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에 남산 성곽길의 마지막 성곽이 나타난다.

이곳에 있는 성곽의 아랫부분 돌에는 성을 축조한 사람의 이름이 새겨져있다. 축조된 성이 부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축조한 사람이 책임을 진다는 의미로 새겨 넣었다고 한다.

육교를 건너 골목 하나를 지나면 드디어 숭례문이다. 대한민국의 국보 1호로서 서울의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됐던 남대문은 2008년 방화로 소실돼 아직까지 복원작업이 한창이다.

대형 임시가건물 덮개에 덮인 채 한쪽 끝만 아련히 보이는 남대문의 모습이 마음을 아리게 했다. ‘전통기법으로 다시 태어나는 숭례문’이라고 쓰여 있는 현수막이 덮개 위에 펼쳐있는데 기대보다는 아픔에 가깝다. 문득 훼손된 서울성곽의 모습이 오버랩 된다. 소중한 옛것을 지킬 수 있어야 온전한 새것이 있는 것이다. 하루하루 생겨나는 새로운 문화코드에서도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마음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남산 성곽길 걷기를 마무리 했다.

남산 트레킹 정보

남산(262m)은 서울 중심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망대와 정상에 있는 N서울타워에서 사방으로 광활하게 펼쳐진 시가지를 볼 수 있어 서울시민 뿐 아니라 지방과 해외의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명소다. 남대문·퇴계로3가·장충공원·이태원동·후암동 등에서 오르는 산책로가 있다. 또한 남산과 접해있는 남산공원에 문화·체육시설과 역사적 자료가 다양해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남산 성곽길은 장충동 성곽길~자유총연맹~남산봉수대~숭례문 코스가 일반적으로 숭례문에서 시작해 장충동 부분에서 끝내도 똑같다. 남산 성곽길은 남녀노소 누구나 3시간이면 걸을 수 있는 쉬운 코스에 잘 구비된 안내판과 인도가 있어 학습을 겸한 가족단위 산책 코스로 추천할 만하다. 

▶ 코스
장충동 성곽길~자유총연맹~남산봉수대~숭례문 : 약 4.7m, 3시간 소요

▶ 교통
장충동~숭례문 :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 5번 출구로 나와서 동호로 방면 장충체육관 뒤편으로 성곽이 보이는 골목으로 들어가면 된다.

숭례문~장충동 : 서울역(1·4호선) 4번 출구, 시청역(1·2호선) 8번 출구로 나와서 숭례문 앞을 지나 남산방면으로 올라가면 된다.

▶ 맛집
숭례문 인근과 장충동 일대는 남대문시장의 오랜 역사와 장충동 하면 떠오르는 족발의 인기 때문에 맛으로 소문난 집이 여럿 있다.

장충동에서 맛집을 찾으려면 일단 일명 족발골목에 들어서서 잘하는 족발집을 찾는 게 먼저다. 이중 노다지평양족발보쌈(02-2278-0557)이 방송뿐 아니라 블로거들에게도 알려진 맛집이다. 정직한 식재료와 바른 조리법으로 족발의 고유한 맛을 고집한다는 이 집에서는 족발과 함께 보쌈, 녹두전, 파전, 막국수 등을 맛볼 수 있다. 족발(대), 보쌈(대), 족발·보쌈세트(대)는 3만5000원, 녹두전 6000원, 파전 7000원, 쟁반막국수(대) 1만5000원.

이밖에도 족발골목에는 평안도족발집(02-2279-9759), 한양원조할머니족발(02-2265-8033), 뚱뚱이할머니족발(02-2273-5320), 장충명가족발보쌈(1566-6271), 덕화보쌈전문(02-2274-2389) 등 유명한 족발·보쌈집이 있다.

숭례문 인근의 맛집은 당연히 남대문시장 근처에서 찾는 게 빠르다. 남대문시장의 역사와 함께 시장을 중심으로 이름난 맛집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중 해물요리집 부산갈매기는 생태찌개와 매운탕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매일 새벽시장에 올라온 생태만으로 요리하는 이 집만의 고집이 손님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생태찌개 2인 1만4000원, 생태매운탕 2만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