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일기 20
![]() |
▲ 파란 하늘에 피어오른 구름에서 가을느낌이 나지만, 무더위 때문에 숨이 턱턱 막히게 힘든 가운데 감자를 캐고 있습니다. |
한창 장마철이라는 7월 초순, 이 산골에는 마른장마가 계속되어 비다운 비가 제대로 내리지 않아 농사짓는 분들의 한숨 소리가 드높습니다. 마른장마 속에 무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려 덥기만 한 오늘, 친한 댁에서 감자를 캔다고 해서 일손이라도 거들 요량으로 이른 아침을 먹고 감자밭으로 갔습니다.
감자밭 주인인 송 선생님께서는 줄기가 아직 푸를 때 감자를 캐야 오래 저장해도 썩지 않는다고 하십니다. 그래도 올해는 예년에 비해 사나흘 늦게 캐는 것이라 하셨습니다. 10년쯤 전 대전에서 이 산골까지 건강을 위해 오신 송 선생님은 자신이 지으신 농산물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십니다.
“소똥을 일 년 내내 모아 거름을 만들어서 비료로 주고, 제초제 한번 안 치고, 우리 안 사람하고 다섯 번도 더 넘게 감자밭을 맸어.”
“내가 지은 농사자랑 같지만 우리 밭에서 나는 것들은 어디 내놔도 내가 떳떳한 유기농이여! 유기농 인증? 그런 거는 안 받았지만 화학비료 안 주고 제초제 안 치고 키운 내 자식들이여!”
![]() |
▲ 유난히 가물었던 올해는 아직 감자가 제대로 영글지 않았습니다. |
송 선생님의 감자 자랑을 들으며 달려들어 조심스레 호미질을 해보지만 어찌된 일인지 캐는 감자마다 작기도 작고 호미질에 비해 소출도 적어서 밭주인이나 도와주러 간 저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아마도 봄 가뭄이 극심했던 것이 원인인 듯싶다는 송 선생님의 말씀에 일단 비라도 한 번 더 내린 후에 감자를 다시 캐기로 하고 아쉽지만 오늘은 두어 평 정도 캐는 것으로 일을 끝내야만 했습니다.
![]() |
▲ 마을 어르신들의 새참인 찐 감자. 감자를 상추에 한 입 크기로 싸서 막장을 얹어 먹는 맛이 기가 막힌답니다. |
어쨌든 오늘 빈손으로 돌아오며 집 근처 가리왕산휴양림 입구의 얼음동굴에 들러 땀을 식히려고 가보니 마을 어르신들이 이미 얼음동굴 앞 정자에 둘러앉아 피서를 즐기고 계셨습니다. 동네 어르신들 모두 갑자기 나타난 저를 반가워라 하시며 음식을 먹고 가라며 흥겨운 잔치에 합석시켜 주셨습니다.
![]() |
▲ 도시에서 온 새색시인 제게 유난히 친절하신 마을 어르신들. 이날 저는 마을 어르신들이 정으로 따라주시는 막걸리에 취해 오후 한나절을 잠으로 보내야했습니다. |
이 산골에는 감자며 옥수수 같은 농산물이 7월 중순경부터 마구마구 쏟아집니다. 다들 농사지으시며 판로를 걱정하시는데,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 여러분들 요즈음 강원도에는 감자가 제철입니다. 가벼운 주머니나마 털어 감자 한 상자 사서 드신다면, 입도 즐겁고 마음도 흐뭇하고 건강도 챙기는 일석삼조가 되지 않겠습니까?
권혜경 | 서울서 잡지사 편집디자이너로 일하다가 2004년 3월 홀연히 강원도 정선 가리왕산 기슭으로 들어가 자리 잡은 서울내기 여인. 그곳서 만난 총각과 알콩달콩 살아가는 산골 이야기가 홈페이지 수정헌(www.sujunghun.com)에 실려 있다.
저작권자 © 아웃도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