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① 청량산 트레킹 - 바위연꽃에 깃든 선인의 숨결
봉화 ① 청량산 트레킹 - 바위연꽃에 깃든 선인의 숨결
  • 글·김성중 기자l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입석~자소봉~장인봉~청량사 7km 4시간 소요되는 원점회귀 코스

월출산, 주왕산과 함께 3대 기악으로 불리는 청량산. 수려한 자연경관 곳곳에 선조들의 발자취가 남아있기 때문일까. 청량산은 첩첩산중의 바위 봉우리로 둘러싸여 있지만, 그 속살은 한없이 부드럽고 포근하다. 2성 4현을 비롯한 숱한 선조들의 발길이 머물던 청량산, 그 품에 안겨보았다.

▲ 바위 봉우리를 병풍처럼 두르고 고즈넉이 자리한 청량사
청량산(淸凉山, 870m)은 경북 봉화군 명호면과 재산면, 그리고 안동시 도산면과 예안면을 아우르며 솟아 있는 바위산이다. 일찍이 월출산·주왕산과 함께 3대 기악으로 불릴 만큼 기암괴석의 봉우리들이 능선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청량산의 품은 큰 편은 아니지만, 산세가 수려해 예로부터 소금강으로 불렸을 만큼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그 속에 얽힌 전설과 유적은 차고 넘칠 정도다.

청량산은 예전에 수산(水山)이라 불리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청량산으로 바뀌었다 한다. 조선시대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은 청량산의 풍광에 감탄해 청량산 12봉우리에 장인봉, 자소봉, 탁필봉, 연화봉 등 제각각 이름을 붙여 ‘육육봉’이라 부르기도 했다.

하지만 청량산은 예로부터 불교의 흔적이 남아 있던 산이었다. 12봉우리에도 사실 주세붕이 명명한 이름 말고 의상봉, 원효봉, 보살봉, 반야봉, 문수봉 등으로 불렸다. 지금도 청량산의 봉우리들은 저마다 불교와 유교식의 이름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무엇보다 청량산은 퇴계 이황의 발자취가 강하게 남아있는 산이다. 어렸을 적부터 숙부인 이우를 따라 청량산에 오르기 시작한 후 평생을 이 산에 올라 학문을 탐구했다. 나중에는 청량산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스스로 ‘청량산인’이라 부르기도 했다. 청량산은 그의 평생의 동반자였고 스승이었던 것이다.

이외에도 청량산에는 평민의 신분으로 신라의 대명필가의 반열에 오른 김생이 10년 동안 글씨 공부를 했던 곳이기도 하다. 그뿐이랴. 청량산에는 청량사를 창건한 2성인 원효대사와 의상대사를 비롯해 4현으로 꼽히는 김생, 최치원, 요극일, 영량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그래서 수려한 경관 속을 거닐며 그들의 흔적을 좇아가는 길은 산행의 재미를 더한다.

자연스레 알게 되는 ‘청량’의 뜻

▲ 청량산의 기암괴석들은 마치 잘 비벼 놓은 콘크리트와 비슷한 역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량산 산행의 들머리는 크게 세 곳이다. 공원안내소에서 도로를 따라 가다보면 하청량, 선학정, 입석이 나오는데 이 세 곳이 청량산 산행의 기점이다. 하청량은 청량산의 정상인 장인봉(의상봉, 870m)까지 가장 단거리로 오를 수 있지만 경사가 가파른 편이다. 선학정은 청량사를 거쳐 장인봉으로 오를 수 있는 길이지만, 청량사까지 콘크리트길이 이어져 산행의 맛이 조금 떨어진다. 산행의 재미도 더하면서 청량산의 빼어난 풍광도 감상하려면 입석을 산행 들머리로 잡는 것이 좋다.

이번 산행에는 봉화군청의 우정수 주사와 방유수 문화해설가가 함께 했다. 일찍이 퇴계 이황 선생이 스스로 ‘청량산인’이라 부르던 것처럼 방유수 씨도 청량산에 대한 사랑이 극진한 나머지 ‘청량산맥’이라는 재미난 별호를 지니고 있다. 일행은 입석을 들머리로 자소봉~하늘다리~장인봉~청량사를 거쳐 원점회귀 하는 코스로 산행을 계획했다.

‘청량산맥’ 방유수 씨는 그 별호처럼 등산로 초입부터 청량산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보따리에서 하나하나 풀어 놓았다.  “청량산은 예로부터 수산, 타자산 등으로 불렸지요. 그러다가 조선시대에 와서 청량산이라 불렸는데, 왜 ‘청량’이라고 바뀌었는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아요. 단, 제 추측으로는 중국 오대산이 청량산이라 불리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 자소봉에 올라 바라본 탁필봉. 탁봉이라고도 부르는 탁필봉은 붓의 끝을 닮았다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아마도 그의 말은 중국 주자의 영향을 받은 주세붕이 청량산의 12봉우리를 유교식으로 명명한 것과 이를 인정한 퇴계 이황처럼 그 이전에는 중국 문화가 국내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뜻하는 것일 게다. 당시에는 우리나라가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었기 때문에 그러한 이유로 청량산이라 불리게 된 것이라 추측하는 것이다.

“하지만 저는 솔직히 가슴속까지 시원하게 해주는 청량음료의 ‘청량’과 뜻이 더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왜 그런지는 산행을 하면서 자연스레 알게 될 겁니다.” 방유수 씨의 말처럼 들머리인 입석에서 등산로로 접어들자마자 후덥지근했던 날씨가 씻은 듯이 사라졌다. 우거진 숲과 마치 오솔길 같은 등산로가 한적한 산행의 맛을 더했다. 오히려 선선한 바람이 불 때면 온몸에 소름이 돋을 정도로 시원했다.

입석에서 응진전까지는 완만한 오르막이 이어졌다. 평소 같았으면 얼마 가지 않아 이마에 땀방울이 맺혔을 테지만, 청량한 공기가 오르는 내내 불어주어 마치 가을산을 오르는 것처럼 상쾌했다. 커다란 바위 아래 위치한 응진전은 아담한 암자였다.

정면으로 시야가 확 트이면서 축융산의 능선이 한 눈에 조망됐다. 축융산은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피신했던 산이다. 축융산부터 형벌을 집행하던 단애절벽의 밀성대까지 청량산성이 긴 꼬리를 잇고 있었다. 응진전 뒤의 커다란 바위에는 작고 동그란 기암이 금방이라도 떨어질 듯 위태롭게 놓여 있었다.

“한 스님이 이곳의 터가 좋아 절을 지으려는데 저 바위가 걸림돌이었어요. 그래서 돌을 치웠는데 다음날 와보니 그대로 돌이 있지 뭡니까. 스님은 부처님이 바위를 치우지 말라는 뜻으로 알고서 바위는 그대로 놔두고 그 앞에 절을 지었다고 합니다. 설악산의 흔들바위처럼 밀면 건들건들 흔들려 ‘건들바위’라고 부르죠.”

아찔한 절벽에 가로 놓인 하늘다리

응진전 감로수에서 목을 축이고 청량산의 주능선을 잇고 있는 자소봉(보살봉, 845m)으로 향했다. 오르는 중간에 대문장가인 최치원 선생이 물을 마시고 머리가 더 총명해졌다는 총명수, 그리고 명필가 김생이 10년간 글씨 공부를 했다는 김생굴과 김생폭포 등 옛 선조들의 흔적도 산행의 맛을 더했다.

김생굴부터는 경사가 심한 오르막이 이어졌다. 아무리 청량한 기운이 도는 산이라 하나 이 순간만큼은 거친 숨소리가 입에서 배어 나왔다. 30여 분 걷고 난 후에야 평평한 안부 지대가 나왔다. 경일봉(750m)과 자소봉, 그리고 장인봉을 잇는 사거리. 여기서 왼쪽 길을 따라가면 경일봉이, 오른쪽으로 가면 청량산 정상인 장인봉으로 갈 수 있다. 자소봉에 가려면 철계단을 따라 5분 정도 올라가야 했다.

자소봉에 오르자 비로소 시야가 확 트였다. 바위 턱에 올라 바라보니 청량산의 산줄기가 한눈에 조망됐다. 능선을 따라 불쑥불쑥 솟아 있는 봉우리들은 저마다 기이한 모양으로 한 자리씩 꿰차고 있었다. 자소봉에서 장인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바라보자 가깝게는 붓의 끝을 닮았다하여 지어진 탁필봉(탁봉, 820m)이, 그 뒤로는 벼루의 물통과 비슷하게 생긴 연적봉(850m)이 이어졌다. 저 멀리에는 지난 해에 새로 놓인 하늘다리도 보였다.

청량산의 주능선에 붙자 자소봉을 지나 자란봉(795m)까지는 평탄하게 길이 이어졌다. 자란봉을 지나자 최근 청량산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는 하늘다리가 나왔다. 예전에는 자란봉에서 바로 눈앞에 보이는 선학봉(821m)까지 가려면 계곡으로 내려가 다시 올라가야 했다. 하지만 지난 해 5월 선학봉까지 이어주는 하늘다리가 생기면서 접근이 훨씬 좋아졌다.

깎아지른 절벽을 사이에 두고 놓인 하늘다리를 지날 때는 마치 축지법으로 봉우리를 넘나들던 전설 속의 도인처럼 공중부양하는 기분이었다. 아찔한 높이에 놓인 하늘다리를 통과한 후 선화봉에 도착하자 청량산의 정상인 장인봉(의상봉, 870m)이 코앞이다.

가파른 철계단을 10여 분 오르고 나자 비로소 장인봉에 도착했다. 표석에는 ‘장인봉’이라는 글씨를 김생의 글에서 집자했다고 적혀 있었다. “표석의 글자는 현재 국립박물관에 있는‘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에서 글자를 본 따서 새긴 거라고 합니다. 장인봉은 예전에 의상봉이라 불렸어요. 이 봉우리 아래에는 의상대사가 수련했다는 의상굴 등이 있는데, 장인봉으로 바뀌면서 의상대사에 얽힌 전설도 같이 묻히고 있는 거 같아 조금 아쉬워요.”

장인봉 정상은 나무에 가려 조망권이 좋지 않았다. 제대로 경관을 감상하려면 여기서 정면으로 난 소로를 따라 50m 정도 가야 한다. 전망대에 오르자 봉화와 낙동강이 시야를 사로잡았다. 비록 여느 산의 정상처럼 사방이 조망되지는 않지만, 봉화의 아름다운 전원풍경과 낙동강의 휘몰아치는 물줄기를 감상하기에 충분했다.

전망 좋은 곳에 자리한 청량사

▲ 자소봉에 오르면 남쪽 방향으로 축융봉의 능선이 시원하게 바라보인다. 축융봉 정상부터 밀성대까지 청량산성이 죽 이어져 있다.
장인봉에서 하산하는 길은 크게 두 가지다. 청량폭포 방향으로 가거나 지나온 길로 되돌아가서 선학정이나 입석으로 내려가는 방법이다. 하지만 청량폭포로 이어지는 길은 내리막이 심해 잘 가지 않는다고 한다. 일행도 다시 왔던 길을 통해 청량사를 거쳐 입석으로 회귀하는 길을 택했다.

자란봉에서 연적봉을 잇는 안부지역인 뒷실고개에서 청량사로 방향을 잡았다. 전에는 가파른 흙길이라 쭉쭉 미끄러지기도 했다는데 지금은 나무 계단으로 정비해 놓아 내려가기 한결 편했다. 바위연꽃의 수술에 위치한 청량사. 마치 둥지 가운데 놓인 새알 같이 병풍처럼 둘러싼 바위 봉우리 속에 한적하게 놓여 있었다. 청량사에는 공민왕이 머물렀다는 유리보전이 유명하다. 유리보전의 현판은 공민왕의 친필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삼각우송이라 하여 세 개의 가지가 곧게 뻗어 있는 소나무도 청량산의 명물이다.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원효 대사가 사찰 창건을 할 때 아랫마을에서 뿔 세 개가 달린 소가 농부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날뛰었다고 한다. 그래서 원효대사가 이 소를 사찰을 건립하는데 쓰려고 데려왔는데, 그 후로는 고분고분해지면서 궂은일을 다 했다고 한다. 소가 죽어 절 앞에 묻었는데, 그곳에서 가지가 셋인 소나무가 자라나 후에 삼각우송이라 불렸다고 전해진다.

청량사를 지나 입석으로 하산하는 길에는 청량정사를 거치게 된다. 청량정사는 ‘오산당’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청량사에서 응진전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청량정사는 퇴계 선생이 공부하던 곳에 사림들의 합의로 1832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 후로 수많은 학자들의 학문과 수양의 장소가 되었다.

입석으로 원점회기하기까지 4시간 정도 걸렸다. 짧지 않은 산행이라 피로가 몰려올 법도 하지만, 마치 신나게 운동을 하고 난 후에 느끼는 기분처럼 상쾌했다. 걷다보면 청량의 뜻을 알게 될 거라는 방유수 문화해설가의 말이 자연스레 이해가 됐다.

때로는 수려한 경관이 시선을 붙잡고, 때로는 우거진 숲길로 불어오는 산들바람이 발목을 붙잡았던 청량산. 아마도 청량산은 사시사철 그 서늘하고 맑은 기운을 계속해서 뿜어낼 게다. 퇴계 선생이 ‘나의 산(吾山)’이라 하여 청량산을 사랑한 것처럼 일행에게도 청량산은 그렇게 기억될 것 같다.

청량산 트레킹 가이드

청량산을 오르는 길은 크게 하청량, 선학정, 입석을 기점으로 하는 산행이 일반적이다. 경사가 가파르지 않은 길을 따라 유적지도 둘러볼 수 있는 코스를 계획한다면 입석을 들머리로 하는 것이 좋다. 청량산 입구에서 입석까지는 3km 정도 지루한 도로를 걸어가야 한다. 걷는 게 싫다면 봉화읍에서 청량산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타고 입석에 내려도 된다.

청량사에는 문화해설가가 주말과 공휴일에 항상 자리하고 있다. 그들을 통해 청량산과 청량사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평일에는 봉화군청 문화관광과에 미리 예약을 하면 문화해설가의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입석을 들머리로 응진전~김생굴~자소봉~하늘다리~장인봉~청량사를 거쳐 원점회귀하는 코스를 추천한다. 총 7km로 4시간 정도면 넉넉히 산행을 마칠 수 있다.
▶ 대중교통 정보
▲동서울터미널~봉화행 고속버스는 1일 6회 운행(07:40, 09:40, 11:50, 13:50, 16:10, 18:10)하며 2시간40분 정도 소요된다. 요금은 1만5100원. ▲봉화~청량산행은 1일 4회(06:20, 09:20, 13:30, 17:40) 운행하며, 요금은 3500원이다. ▲봉화읍~청량산 택시 이용요금은 2만5000원~3만 원 정도 한다.
문의 : 동서울터미널 1688-5979, 봉화버스터미널 054-673-4400, 봉화군청 문화관광과 054-673-580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