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먹을 것인가, 피할 것인가
GMO 먹을 것인가, 피할 것인가
  • 김경선 부장
  • 승인 2018.10.31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MO 식품 논란, 안전성은 여전히 이견

‘한국의 바다가 GMO’에 오염됐다는 뉴스가 연일 화제다. 한반도 주변 해안에서 서식하는 담치·고둥·조개·굴 등에서 GMO 유전자가 대거 검출됐다. 양식장에서 GMO 사료를 사용하면서 바다가 GMO에 광범위하게 노출된 것. GMO는 영어로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약자로 유전자 변형 식품을 가리킨다. 원래의 농산물보다 생산량을 증대시키거나 유통 및 가공상의 편의를 위해 기존의 육종 방법으로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을 지니도록 조작한 농산물이다. 주로 콩이나 옥수수, 감자 등 소비량이 많은 농산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농약 등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 품종을 개량했다.

최초의 GMO 농산물은 다국적 기업인 몬샌토Monsanto가 1985년 병충해에 강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유전자를 조작한 콩이다. GMO의 등장은 세계 식량 부족 문제에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며 식량 혁명으로 불릴 만큼 찬사를 받았다. GMO 식품이 가격은 저렴하고 생산성은 더 우수하다보니 현재 전 세계 24개국, 우리나라 국토의 약 19배에 달하는 농지에서 재배중이다.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non-GMO를 외치는가. 문제는 GMO의 유해성이다. 프랑스 캉Caen 대학의 질 에릭 세랄리니 교수팀은 제초제 저항성 GMO 옥수수를 2년 간 먹인 쥐와 그렇지 않은 쥐의 비교를 통해 GMO 옥수수를 먹인 쥐의 수명이 2배 이상 짧아졌고 종양까지 생겼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결국 해당 연구는 표본 부족과 연구과정의 결함 등으로 학술지 게재가 취소되는 등 학계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일반인들 사이에서 GMO 공포가 확산되는 사이 과학자들은 GMO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잇따라 발표했다. 문제는 GMO를 둘러싼 검증이 여전히 진행중이라는 사실이다. GMO 반대론자도, 옹호론자도 반박의 여지없는 뚜렷한 근거를 아직까지 내놓지 못했다. 그 사이 우리나라는 손꼽히는 GMO 대국으로 성장했으며, 2017년 식품 및 사료용으로 수입한 GMO는 약 960톤에 달한다.

문제는 현대인들이 GMO 식단을 완벽하게 피하기 힘들다는 사실이다. 표기 여부가 확실한 식품도 있지만 표기가 불분명한 부재료에 GMO 사용이 더 많다. GMO 사료를 먹인 육류, 각종 식품에 부재료로 사용된 식용류(대부분 GMO 원료를 사용한다), 가공 수입품에는 명확한 GMO 표기가 없다. 결국은 소비자의 선택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GMO 표기를 의무화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원재료에 GMO를 사용해도 최종 제품에 GM 단백질이 남아있지 않을 경우 표기 의무가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