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과 동해, 역사와 설화 어우러진 ‘종합선물세트’
대관령과 동해, 역사와 설화 어우러진 ‘종합선물세트’
  • 글 사진·진우석 출판팀장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REKKING | 아름다운 우리 길 ① 강원도 ‘바우길’

▲ 수로부인의 설화가 살아있는 헌화로 해안길을 걷는 강원도 바우길 개척대의 힘찬 발걸음.

소설가 이순원, 산악인 이기호 의기투합…10개 코스 개척

강릉이 고향인 소설가 이순원 씨와 산악인 이기호 씨, 그리고 뜻있는 강릉 시민이 뭉쳐 바우길 10개 코스,150km를 개척했다. 그 길은 백두대간 대관령을 넘어 경포와 정동진 바닷가로 이어진다. 금강소나무 향기 가득한 길은 강원도 감자처럼 투박하지만 자연의 깊은 맛이 살아있다. 작가의 상상력과 산악인의 꼼꼼한 답사가 만들어낸 바우길을 따라 강릉의 속살을 만나보자.


걷기여행, 등산, 트레킹…. 바야흐로 걷기의 전성기다. 제주 올레와 지리산 둘레길이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전국적으로 걷기 좋은 길들이 우후죽순처럼 등장하고 있다. 올레와 둘레길 다음으로 아름다운 명품 걷기 코스는 과연 어딜까. 그 많은 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이 강원도 바우길이다.

강릉은 대관령과 선자령으로 대표되는 백두대간의 수려한 산줄기와 경포대, 주문진, 정동진 등의 푸른 바다가 한데 어우러진 천혜의 고장이다. 여기에 이 고장이 낳은 이야기꾼인 소설가 이순원 씨가 한 땀 한 땀 걸으며 길에 생명을 불어넣고, 한국산악회 소속 산악인 이기호 씨가 마을 구석구석을 누비면서 길을 찾아낸 것이 마음을 든든하게 했다. 그래서 이순원 씨에게 연락해 바우길 개척대와 정동진에서 금진항까지 이어진 바우길 9코스 ‘헌화로 산책길’을 함께 걸었다.

▲ 정동진 해안단구 위에 있는 심곡리 배추밭. 강릉에서 오지에 해당하는 심곡리는 김과 미역이 유명한 곳이다.

정동진 보이는 언덕에서 바닷가로 내려서
“9코스는 본래 천연기념물인 정동진 해안단구 바닷길을 걸어야 해요. 헌데 이곳은 군부대, 강릉시, 주민들의 허락이 떨어져야 갈 수 있어요. 그래서 일단 길을 산으로 돌렸어요.”

정동진 모래시계공원 뒤편 기마봉 등산로 입구에서 바우길 개척대장인 이기호 씨(이하 이대장)의 설명이 이어졌다. 어제까지 세차게 불던 바람이 그치자 날은 차고 맑았다. 이순원 바우길 개척단장(이하 이작가)을 비롯한 10여 명의 대원이 산길에 올라붙는다. 뒤를 돌아보니 정동진 해변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 정동진 뒷산에 서면 정동진 해안단구가 시원하게 펼쳐진다. 9코스는 이곳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헌화로로 내려간다.
“강릉 사람들은 정동진이 아니라 꼭 ‘정동’이라고 불렀어요. 정동진이라고 부르게 된 것도 서울 사람들이 내려와서 정동진, 정동진, 하니까 그들의 말을 따라 정동진이라고 부르는 거지요.” 발음해 보니 정동진보다 정동이라는 어감이 감칠맛이 난다. 이작가의 설명을 들으며 잡목 사이로 난 길을 이리저리 휘돌자 작은 언덕에 올라선다.

커피 한 잔 먹자는 이대장의 말에 신속하게 커피잔이 돌아간다. 바다가 보이는 언덕이 순식간에 찻집으로 바뀐다. “바우길이 아주 웃겨요. 우리끼리 걸으면 비 때리고 안개로 풍경을 가려서 애를 태우더니, 어디에서 취재만 왔다 하면 이렇게 쫙 시원하게 하늘보다 더 시퍼런 바다를 보여줍니다. 탤런트적인 심보가 있다고 할까요.” 입담 좋은 이대장의 바우길 예찬이 시작되자 대원들의 얼굴에 함박웃음이 피어난다.

“바우는 우리 강원도 말로 바위예요. 강원도와 강원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감자바우’라고 하잖아요. 또 바우(Bau)는 또 바빌로니아 신화에 손으로 한번 어루만지는 것만으로도 죽을병을 낫게 하는 아주 친절하고도 위대한 건강의 여신이기도 해요. 이 길을 걷는 사람 모두 바우 여신의 축복처럼 저절로 몸과 마음이 건강해졌으면 하는 바람을 길 위에 담았습니다.” 이작가의 바우길 이름 유래를 들으니 몸이 상쾌해지는 느낌이다. 사실 이작가의 작명 솜씨는 문단에서도 유명하다. 소설 ‘은비령’의 가상 무대 은비령이 나중에 인제군의 실제 지명으로 탄생했을 정도다.

산길은 기마봉으로 향하다 왼쪽으로 방향을 틀었고 작은 고개를 넘자 시야가 툭 터졌다. 앞쪽으로 정동진 해안단구 언덕과 그 너머 시퍼런 바다가 장쾌하다. 언덕 오른쪽에 심곡리 배추밭이 있는데, 길은 그곳으로 이어진다. 산길을 내려와 도로를 건너니 산에서 보았던 배추밭이다. 여성 대원인 김민정, 채정미, 진미영 씨가 배춧잎을 뜯으며 신이 났다. 배추밭에서 심곡리로 들어가는 고샅길로 접어들어 마을 앞의 식당에 여장을 풀었다. 점심시간이다. 메뉴는 이곳의 명물인 옹심이칼국수. 여기에 밭에서 딴 배추와 옥수수동동주를 곁들이니 천국이 따로 없다.

▲ 정동진의 차가운 바닷바람을 뚫고 걸어가는 바우길 개척대.

수로부인의 설화를 품은 헌화로 해안길
오후에는 심곡에서 금진항까지 해안선을 따라 ‘헌화로’를 걷는다. 오전이 산길이라면 오후는 바닷길이다. 심곡 마을에서 모퉁이를 돌아서니 시퍼런 바다가 나타나고 파도가 밀려와 철썩철썩 해안을 때린다. 우와~ 대원들의 환호성이 울려 퍼진다.

심곡마을에 처가가 있다는 장인환 씨가 다가와 심곡은 양양 기사문리와 함께 바닷물이 맑기로 유명하며, 이곳 미역과 돌김이 조선시대에 임금님의 밥상에 올라갔을 정도로 맛이 좋다고 일러준다. 순간 철썩하며 파도가 바위를 때리면서 물이 도로까지 튀어 오른다. 피할 겨를이 없어 기분 좋게 물벼락을 맞는다.

심곡에서 금진항까지 2.4㎞의 길을 헌화로라 부른다. <삼국유사> ‘수로부인전’에는 ‘헌화가’와 ‘해가’ 두 개의 노래가 전해지는데,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하는 헌화가의 무대로 추측하는 곳이다. 꽃이 없는 계절이라 그런지 헌화가보다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네 만일 거역하고 바치지 않으면, 그물로 잡아서 구워 먹고 말리라’라는 ‘해가’가 떠올랐다.

▲ 심곡리 배추밭에서 점심 먹거리를 장만한 바우길 여성 대원들. 진미영 씨가 배추를 내밀며 활짝 웃는다.

순정공의 아내 수로부인은 절세의 미녀로 소문이 자자했다.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하러 오던 바닷가 길에서 수로부인은 물신에게 납치를 당한다. 순정공과 일행이 수로부인을 되돌려 받기 위해 물신에게 부른 노래가 바로 ‘해가’다.

▲ 코스를 함께한 바우길 개척대. 개척대는 이순원 작가와 이기호 대장을 비롯해 강릉 MBC PD, 의사, 주부, 마을이장 등 다양한 사람들이 뭉쳤다.
거칠게 살아 움직이는 바다에서 금방이라도 무언가 튀어나와 우리를 저 깊은 심연으로 데려갈 것 같다. 헌화로 입구에서 절벽을 따라 이어진 나무계단을 올라보니 헌화정이다. 해안에 조금 올라왔을 뿐인데도 시야가 넓게 열린다. 두 팔을 벌려 굽이굽이 이어진 헌화로와 그 너머 푸른 동해를 힘껏 안아본다. 다시 헌화로를 따르면 중간쯤에 합궁골이 있다. 신성한 탄생의 신비로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으로 특히 해가 뜨면서 남근의 그림자가 여근과 마주할 때 가장 강한 기를 받는다고 알려졌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를 보기 위해 일출을 기다리는 연인과 가족들이 소리 소문 없이 늘었다고 한다.

마치 부채 끝처럼 이어진 길을 따라 모퉁이를 몇 번 돌자 아담한 금진항이 대원들을 반긴다. 걷기가 끝났지만 바우길 개척대 사람들은 무엇이 아쉬운지, 어깨동무를 하고 금진항 등대를 향해 나간다. 참으로 감자바우처럼 투박하고 따뜻한 모습이다. 바우길은 투박하고 속정 깊은 강릉 사람들을 닮았다.

MINI INTERVIEW  이순원 작가와 이기호 대장
“강릉의 속살을 보여 드립니다”

▲ 이기호 대장(왼쪽)과 이순원 작가(오른쪽).
“바우길은 가장 먼저 저를 변화시켰어요. 1년쯤 꾸준히 바우길을 걸었더니 몸과 마음이 튼튼해졌고, 장편소설이나 잡문들의 글도 술술 잘 풀리던 걸요.”

2009년 내내 이순원 작가는 평일에는 글을 쓰고, 주말이면 강릉으로 내려와 바우길을 걸었다. 바우길을 내는 것이 전업작가인 그가 글 쓰는 데 방해가 될 거 같지만, 오히려 좋은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길을 걷고 나면 글이 더 잘 풀렸다고 한다.

강릉에서 유명한 두루치기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기호 대장은 생업을 아내에게 맡겨놓고, 일주일 내내 강릉 구석구석을 쑤시고 다니며 길을 찾았다. 그 과정에서 강릉 토박이인 자신도 모르는 아름다운 길과 마을이 이렇게 많은 줄 몰랐다고 한다. 그렇게 찾은 길은 이순원 작가가 한 걸음 한 걸음 내딛으며 의미부여를 했다. 바우길은 이렇게 두 사람의 노력을 바탕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바우길 개척과정에서 고생은 말도 못하고 사비도 톡톡히 들었지만, 두 사람의 바람은 소박하다.

“저희가 바라는 것은 많은 사람이 찾아와 주시는 것밖에 없어요. 개척은 저희가 했지만, 길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은 걷는 사람들 아니겠어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