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발자국에 가슴이 두근두근
멧돼지 발자국에 가슴이 두근두근
  • 김경선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푸마와 함께하는 KOREA TRAVEL 태백 ② 금대봉~검룡소 트레킹

▲ 이무기가 검룡소로 들어가기 위해 용틀임을 했다는 검룡소 폭포. 눈이 없을 때면 바위에 낀 푸른 이끼로 더욱 신비롭다고 한다.

용연동굴~금대봉~분주령~검룡소 코스…약 8km 6시간 소요

강원도 태백과 정선에 걸쳐있는 금대봉(金臺峰, 1418m)은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와 수많은 야생화를 품고 있는 태백의 명산이다. 특히 금대봉에서 대덕산(大德山, 1310m)으로 이어지는 능선 구간은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됐을 만큼 야생화가 많아 우리나라의 야생화 보고로 손꼽히는 곳이다. 사실 야생화를 볼 수 없는 겨울철에는 이 코스를 잘 찾지 않지만,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를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을 뿐더러 겨울철 눈밭의 풍광도 여느 산에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나다기에 용연동굴~금대봉~분주령~검룡소 구간을 산행 코스로 잡았다.

▲ 해발 980m 고지에 있는 용연동굴에서는 종유석과 석순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금대봉으로 가장 빨리 올라가는 들머리는 두문동재지만, 인적 드문 산길을 걸으며 설경을 마음껏 감상하고 싶은 마음에 용연동굴로 향했다. 용연동굴은 해발 920m 지점에 위치한 동굴로 굴 안에는 동굴산호 군락과 석순, 유석 등이 가득해 신비감이 느껴진다.

동굴 앞 입구에서 안전모를 착용하고 계단을 내려서자 갑자기 시야가 환해지면서 거대한 동굴 내부가 드러났다. 건식동굴이라 그런지 다른 동굴에 비해 습도가 덜하고 서늘한 기운이 느껴진다.

“용연동굴은 1억5000만∼3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동굴의 길이는 843m로 온갖 형상의 석순과 종유석·석주·동굴산호·석화 등을 볼 수 있어요.”

태백시 소속의 서순분 문화해설사의 설명이다. 흥미로운 지하세계를 탐험한 지 40분 쯤 지났을까, 동굴을 순환하는 탐방로가 다시 동굴 입구에 닿았다.

너무도 호젓한 등산로
동굴을 나와 본격적인 등산로로 접어들었다. 사실 용연동굴에서 금대봉으로 이어지는 등산코스는 이정표가 전혀 없는 구간이다. 독도에 자신 있지 않다면 반드시 용연동굴 관리사무소에서 산행 코스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동굴 우측에 위치한 생태탐방로로 들어서 오솔길을 100여m 걸어가자 왼쪽으로 산길이 드러났다. 비탈길을 따라 10여 분 걸었을까, 등산로가 능선에 닿는다.

이 산길은 사람들이 거의 다니지 않는 구간이다. 아니나 다를까, 산중 어디에도 사람의 발자국이 보이지 않았다. 며칠 전 내린 눈으로 산길마저 가려져 있으니 능선을 벗어나면 길을 잃기 십상이다.

▲ 용연동굴 우측의 오솔길로 접어들면 금대봉으로 오르는 산길을 만난다. 낙엽송 군락인 비탈길을 오르는 취재팀.
등산로는 금대봉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나온 능선을 거슬러 올라갔다. 가파른 오르막이 끝없이 이어지는 산길을 걷다보니 고라니며 멧돼지 발자국이 능선 곳곳에 잔뜩이다. 혹여나 멧돼지를 만나지 않을까 걱정스런 마음으로 발걸음을 재촉했다.

가도가도 끝이 없을 것만 같은 오르막길이 계속 이어졌다. 산행을 시작한 지 어느새 1시간, 이쯤 되면 백두대간 마루금에 닿아야했건만 갈수록 대간 능선이 멀어지는 기분이다. 이정표도 없고, 등산로도 뚜렷하지가 않으니 자꾸 마음만 조급해져온다. 그렇게 걷기를 1시간30분, 이정표가 보였다. 드디어 산길이 백두대간 마루금에 닿은 것이다.

한반도의 등줄기를 이루는 백두대간은 북에서 태백으로 들어와 피재~매봉산~비단봉을 거쳐 금대봉~은대봉~함백산~태백산으로 뻗어간다. 높이만도 1400~1500m를 넘나드는 태백의 대간 능선은 장쾌하면서도 유려한 멋이 느껴지는 구간이다. 특히 금대봉은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와 낙동강의 발원샘인 너덜샘(은대샘)을 품고 있어 더욱 의미가 깊다.

이정표 앞에서 잠시 숨을 돌린 취재팀은 ‘두문동재’ 방향으로 들어서 백두대간을 따랐다. 고도가 높아지니 산길에도 눈이 더욱 많아져 무릎까지 쌓인 눈이 오금을 잡아 걸음을 자꾸만 붙잡았다. 바로 코앞에 금대봉이 보이는데 수북이 쌓인 눈밭 된비알에 평소보다 곱절의 시간이 걸리는 듯하다. 숲터널을 지나니 드디어 금대봉 정상. ‘쏴~’ 사방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것이 1418m가 실감난다.

산행 시작 2시간 만에 맛보는 정상의 맛이 여느 때보다 달콤하다. 산짐승도 보행을 멈춘 적막강산을 걷는 동안 외로움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나보다. 평평한 공터 정상에는 산불감시초소와 양강(한강, 낙동강) 발원봉 푯말, 돌무더기가 지키고 있었다. 한 숨 돌리고 바라보니 사방으로 펼쳐진 조망도 훌륭하다. 방금 지나온 동쪽으로는 거대한 풍력발전기가 돌아가는 매봉산이 한 눈에 조망되고, 그 너머 피재에서 푯대봉~덕항산~두타산으로 이어지는 대간길과 대박등~우보산~백병산으로 이어지는 낙동정맥이 갈라져 장관을 이루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북쪽으로 덕산, 민둥산, 고양산, 노목산의 거봉들이 얽히고설켜 시선을 사로잡는다.

▲ 금대봉 정상에서 바라보면 북쪽으로는 덕산·민둥산·고양산·노목산의 거봉들이, 동쪽으로는 풍력발전기가 돌아가는 매봉산이 한눈에 조망된다.

평탄한 능선길 분주령까지 이어져
금대봉 정상에서 북서쪽 방면으로 내려서 대덕산으로 향했다. 가파르고 비좁은 산길을 내려서자 널찍한 임도가 나타났다. 임도를 따라 500m 정도 걸으니 우암산 안부에서 오른쪽으로 작은 샛길이 보였다. 직진하면 우암산, 오른쪽 소로를 따르면 대덕산 방면이다. 취재팀은 ‘대덕산·금대봉 생태보전지역’ 이정표를 따라 오른쪽 소로를 따랐다.

우암산 동사면을 가로지르는 등산로를 따라 5분 정도 걸어가자 고목나무샘이 반겼다. ‘한강 발원지’라고 적힌 작은 표지기가 아니면 쉽게 지나칠만한 작은 샘이다.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의 물은 금대봉 인근의 고목나무샘과 제당굼샘·옛터굼샘·물구녕석간수의 물이 복류해 만난다. 이로 인해 몇몇 사람들은 지금까지도 제당굼샘이 한강의 발원지라고 하지만 이것은 틀린 말이다. 국립지리원에 따르면 발원지라는 명칭을 얻기 위해서는 1년 365일 24시간 내내 물이 용출되어야하는데, 제당굼샘을 포함한 4개의 샘은 물은 많을지언정 항상 용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고목나무샘을 지나 우암산 북릉상으로 등산로가 이어졌다. 고목나무샘에서 100m 지점 우측으로 금대봉골로 내려서는 계곡길이 나타났다. 계곡길로 내려서면 검룡소주차장까지 1시간 정도면 하산하겠지만 지금처럼 눈이 많은 겨울철에는 길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취재팀은 대덕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분주령에서 하산하기로 결정하고, 직진해 능선을 따랐다.

▲ 분주령으로 향하는 길. 우거진 숲길을 지난다.

▲ 고목나무샘을 지나면 산길은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진다.
잠시 산비탈을 가로지르던 능선길은 얼마 뒤 넓고 평평해지더니 숲길로 이어졌다. 분주령까지 계속 내리막길이 이어져 걷기가 한결 수월하다. 그렇게 걷기를 2시간 만에 분주령에 도착했다. 분주령은 금대봉과 대덕산이 만나는 안부로 해발 1080m의 고지대지만 금대봉과 대덕산의 고도의 밀려 푹 꺼진 듯한 느낌이다.

분주령 갈림길에서 계속 직진해 능선을 따르면 대덕산이고 오른쪽 분주밭골로 하산하면 검룡소주차장이 나온다. 취재팀은 분주밭골로 내려서 하산을 시작했다. 계곡길에는 사람 발자국 대신 산짐승들의 발자국만 가득했다. 마치 취재팀을 인도하기라도 하듯 등산로를 따라 줄지어져 있는 멧돼지 발자국에 오싹한 기분마저 들었다.

분주밭골 계곡으로 내려서자마자 하루 종일 맑던 날씨가 흐려져 금세 눈이라도 쏟아질 것만 같았다. 아니나 다를까, 하늘에서 눈발이 살살 날리더니 분주밭골이 어느새 설국(雪國)으로 변해버렸다.

신비로운 남한강의 발원지, 검룡소
분주령에서 30분을 걸어 내려오자 오른쪽에 검룡소로 가는 다리가 나타났다. 다리를 건너 10분을 걸어가자 마침내 검룡소(儉龍沼)다. ‘신령한 용이 사는 못’이라는 의미다. 여기에는 전설이 전해온다.

옛날 서해에 살던 이무기가 한강의 발원지를 찾아 거슬러 올라오다 검룡소에 이르렀다. 오랜 여행으로 힘이 들었던 이무기는 몸부림을 치며 검룡소로 들어갔고 용이 되기 위해 공부를 계속했지만 아직까지 승천하지 못한 채 검룡소를 지키고 있다. 이때 이무기가 몸부림친 흔적인 검룡소 바로 밑 용틀임 폭포다.

검룡소는 금대봉 기슭에서 석회암반을 뚫고 끊임없이 솟아나는 물줄기로 매일 2000톤~3000톤의 물을 용출시키고 있다. 신기한 것은 검룡소 주위 어디에서도 물이 흘러 내려오는 모습을 볼 수 없는데, 이는 석회암반 지형의 특성상 물이 복류하기 때문이다.

▲ 분주밭골을 거의 다 내려왔을 무렵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동화 속 나라처럼 아름다운 설국이 펼쳐졌다.
용틀임 폭포를 거슬러 올라가니 예상보다 작은 샘인 검룡소가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이 작은 샘은 광동댐으로 흘러들어가 태백 사람들의 생명수가 되고 정선의 골지리를 지나면서 골지천이 된다.

이 골지천은 아우라지에서 송천과 만나 조양강이라는 이름을 얻고 평창에 이르러 오대산 우통수에서 발원한 오대천과 만나 영월로 흘러들어간다. 영월에서 동강이라는 이름을 얻은 물줄기는 잠시 뒤 서강과 만나 남한강이 되고, 남한강은 단양의 도담삼봉을 거쳐 충주호를 지나 원주와 여주를 흘러 도계에서 섬강과 마지막 합류를 이룬다. 이어 양수리까지 흘러내려온 남한강은 두물머리에서 북한강을 만나고, 드디어 한강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생명수의 시발점이 되는 검룡소를 되돌아 나오는 길. 영롱한 기운이 계속 뒤따랐다. 짧은 산행이지만 눈밭을 걸어 생명수를 만나니 큰 선물을 얻은 기분이다. 우리는 시냇물을 따라 창죽골을 지났다. 이대로 한강까지 갈 것만 같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