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타고 찾아간 ‘바위 전시장’
지하철 타고 찾아간 ‘바위 전시장’
  • 글·김경선 기자|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푸마와 함께하는 KOREA TRAVEL 서울 강북 ② 불암산~수락산 종주 트레킹

상계역~정암사~불암산~덕릉고개~도솔봉~수락산~석림사 코스~장암역…11km 6시간 소요

▲ 수락산 코끼리 바위를 지나면 슬랩지대가 나타난다. 살얼음 때문에 위험해 산행객들의 발걸음이 조심스럽다.
서울의 동북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불암산과 수락산은 전체가 바위 덩어리로 보일 만큼 우람한 암릉과 수려한 계곡을 자랑해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산이다. 그럼에도 산세가 크진 않아 두 산을 엮는 불암~수락 종주 산행에도 적합하다. 무엇보다 주요 들머리와 날머리를 지하철로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사시사철 수도권 등산인들이 찾아든다.

이성부 시인은 가까이 있는 산을 가리켜 아내 같다고 노래했다.


가까이에 있는 산은
항상 아내 같다
바라보기만 해도 내 것이다

오르면 오를수록 재미있는 산
더 많이 변화를 감추고 있는 산
가까이에서 더 모르는 산
그래서 아내 같다
거기 언제나 그대로 있으므로
마음이 놓인다.

-이성부 시인의 ‘삼각산’ 중에서


▲ 불암산 거북바위 일대는 거대한 암릉 지대다. 바위에 박힌 볼트를 밟고 조심스럽게 올랐다.
너무 가까이 있어 가끔은 중요성을 망각하게 되는 근교의 산들. 서울 강북에는 이름 난 산이 많다. 수도권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북한산(837m)과 도봉산(740m) 외에도 수락산(638m)과 불암산(508m), 그리고 북악산(342m)과 아차산(287m) 등 접근성 좋은 산들이 여럿이다. 이 산들은 아내처럼 늘 그 자리에 서서 시민들의 발걸음을 묵묵히 받아들인다.

서울에 위치한 산들 중에서 강북 동북쪽 끄트머리에 자리한 불암산과 수락산은 산세가 크진 않지만 북한산과 도봉산 못지않은 단단한 기암과 수려한 계곡을 품고 있어 시민들의 사랑을 흠뻑 받고 있는 산들이다.

두 산은 시민들뿐만 아니라 시인들과도 특별한 인연이 있다. 천진한 문장으로 한국인들의 사랑을 받은 천상병 시인과 어릴 적부터 시적 재능이 뛰어나 ‘오세문장’이라는 칭호를 받은 조선의 매월당 김시습이 주인공이다. 천상병 시인은 생전에 수락산 자락에서 8년을 살면서 ‘수락산변’, ‘귀천’, ‘계곡’ 등 산의 정취를 듬뿍 담을 작품을 써냈고, 김시습은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몰아내자 수락산에 들어와 농사를 짓고 시를 쓰며 울분을 달랬다고 전해진다.

▲ 불암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 저 멀리 서울시 노원구 일대의 빽빽한 아파트 숲이 보인다.

살얼음 뒤덮인 불암 계곡길
불암산과 수락산은 전체가 바위 덩어리로 보일 만큼 우람하지만 산세가 크지 않아 두 산을 엮는 종주산행을 많이 한다. 취재진도 불암산과 수락산을 연결해 코스를 잡고 불암산 서쪽 들머리인 정암사로 향했다. 지하철 4호선 상계역에서 내려 당고개 방면으로 500m 이동해 당고개 입구 오거리에서 상계중학교 골목으로 5분쯤 올라가니 갈림길이 나타났다. 왼쪽은 정암사 능선길, 오른쪽은 정암사 불암계곡길이다. 오른쪽 정암사 계곡길로 들어서 포장도로를 15분 올라가면 시멘트 축대를 높이 세운 정암사다. 산길은 정암사 직전의 오른쪽으로 이어졌다.

완만한 계곡길을 따라 10분을 올라가니 배드민턴장에서 산길이 갈렸다. 왼쪽은 경수사, 오른쪽은 계곡을 따르는 산길이다. 오른쪽으로 들어서 계곡을 따랐다. 해가 잘 비치지 않는 계곡길이라 그런지 살얼음이 끼어 자칫 하면 미끄러지기 일쑤다. 아이젠을 끼고 오르막을 1시간 정도 올라가니 드디어 깔딱고개 정상. 이곳은 남양주 불암사와 중계동 학도암 쪽에서 올라오는 길과 교차하는 주능선이라 그런지 등산객들이 이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 거대한 바위 덩어리로 이루어진 불암산 정상.
깔딱고개 전망대에서 바라보니 동서의 풍경 차이가 확연하다. 서쪽으로는 서울시 노원구의 빽빽한 아파트 숲이, 동쪽으로는 경기도 남양주의 널찍한 논과 밭이 대조적으로 펼쳐졌다. 북쪽으로는 송낙(소나무 겨우살이로 만든 여승이 쓰는 모자)을 쓴 부처의 모습을 닮았다는 불암산 정상이 코앞에 있는 듯 가깝다.
발길을 정상으로 돌렸다. 주능선 등산로는 줄곧 암릉길이 이어지더니 거북바위부터 더욱 우람한 바위지대로 바뀌었다. 거북바위의 완만한 슬랩구간을 지나 나무계단을 올라서자 시야가 탁 트인 전망대다. 정암사 능선길의 힘찬 능선과 불암계곡이 한눈에 조망되니 등산객들은 모두들 걸음을 잠시 멈추고 풍경을 감상하기 바쁘다.

불암산은 바위산이다. 암벽을 두른 정상부의 위용이며 사랑바위· 말바위·용바위 등 다양한 모양의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수려한 풍광을 자랑한다. 화강암 봉우리가 만들어낸 남성적인 기품은 재미있는 전설을 만들어냈다.

잠시 전설 한 토막 듣고 가자. 불암산은 본래 금강산에 있는 산이었는데, 조선왕조가 건국되고 도읍을 정할 때 한양에 남산이 없다는 소식을 듣고 한걸음에 달려온다. 그런데 벌써 한양에 남산이 들어선 것을 본 불암산은 지금의 자리에 한양을 등진 채 머물게 된다. 산 같지도 않은 산이 먼저 자리를 꿰찬 것이 못마땅했는지 팽하고 돌아선 자태다. 혹자는 이를 두고 ‘반역의 산’이니 이야기를 하지만, 사실 불암산의 기품과 조형미는 태조 이성계가 일찌감치 인정해 자신의 묘 자리를 봐 두었을 정도다.

▲ 불암산 정상에서 바라 본 석장봉. 그 너머로 수락산이 조망된다.

빼어난 정상의 조형미 압권
거북바위에서 10여분을 오르자 정상 바위 바로 밑이다. 불암산의 정상은 우뚝 솟은 바위봉우리로 10여m를 밧줄을 붙잡고 조심스럽게 올라야한다. 정상에 올라서자 쉴 새 없이 바람에 나부끼는 정상 태극기가 취재진을 맞이했다.

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에 탄성이 절로 흘러나왔다. 서쪽으로는 북한산과 도봉산의 웅장한 산세가, 동쪽으로는 남양주 별내면의 평야가, 북으로는 수락산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이 힘차게 줄달음치니 답답했던 가슴이 시원하게 뚫리는 기분이다. 아마 이런 매력 때문에 불암산이 수도권 등산인들에게 인기가 있을 것이다.

▲ 정상에서 덕릉고개로 하산하는 길, 곳곳에 표지기가 있어 길 찾기가 수월했다.
정상 바위를 내려와 북쪽 덕릉고개 방면으로 향했다. 나무계단을 내려서자 산길은 정암사 능선길과 주능선길로 갈렸다. 오른쪽 주능선길을 따르자 곧 석장봉이다. 일명 다람쥐광장이라 불리는 석장봉 정상에는 간이매점도 있다. 주변에선 산행객들의 점심식사가 한창이다. 석장봉에서 10여분 능선을 따르니 폭포약수터 갈림길. 여기서 직진해 50여분 산길을 내려서자 덕릉고개다. 이 고개를 지나면 수락산의 품이다.

고갯마루에 터를 잡은 삼각산부대 정문 왼쪽으로 동물이동통로가 보였다. 정상까지 주능선을 따르기로 한 취재진은 군부대 철조망을 우측에 끼고 산길을 따랐다. 간간히 널찍한 쉼터도 나오고 등산로가 완만해 오르기 어렵지 않은 구간이다. 1시간을 꼬박 걸어 도솔봉(540m)에 가까워지자 좌우로 서울과 경기도 시내와 취재진이 지나온 불암산의 산세가 한 눈에 조망됐다.

▲ 거대한 바위 위 태극기가 꽂혀있는 곳이 수락산 정상이다.
산길은 도솔봉을 우회해 북으로 이어졌다. 도솔봉을 지나자 수락산의 기암들이 얼굴을 드러냈다. 기기묘묘하게 생긴 거대한 바위들이 도처에 우뚝 솟아 산행의 재미를 더해준다. 산길은 좁은 바위틈을 사이로 이어지더니 이후 거대한 치마바위를 지났다. 치마바위와 철모바위 중간 지대는 아찔한 슬랩 구간이다. 난간을 붙잡고 슬랩을 내려서자 철모를 뒤집어 놓은 모양의 철모바위다. 15분 정도 능선을 따르니 드디어 수락산 정상이다.

정상에는 주말을 맞아 수락산을 찾은 가족 산행객들로 북적거렸다. 하나 같이 사방으로 펼쳐진 풍광에 시선을 뺏긴 모습이다. 정상에서 바라보면 끝도 없이 펼쳐지는 바위의 파노라마에 눈이 즐겁다. 치마바위, 탱크바위, 하강바위, 기차(홈통)바위, 철모바위, 코끼리바위, 종바위, 배낭바위…. 어떻게 닮은꼴을 찾았나 싶을 정도로 기기묘묘한 바위마다 제 이름을 가지고 있으니 심심할 겨를이 없다.

수락산의 기암괴석 파노라마는 저 멀리 사패산과 도봉산을 거쳐 북한산까지 이어졌다. 성냥갑 같은 도시에 자연이 만들어 놓은 바위조각들이 푸른 하늘과 어우러져 더욱 빛나는 듯했다. 이제 곧 봄이 오면 이 능선 자락마다 연둣빛으로 뒤덮이고 가까이 있어 소중함을 망각했던 사람들의 발길도 끊임없이 이어질 것이다. 소중한 아내를 찾는 것처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