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같은 암봉 파노라마에 가슴이 두근두근
불꽃같은 암봉 파노라마에 가슴이 두근두근
  • 글·김경선 기자l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푸마와 함께하는 KOREA TRAVEL 서울 강북 ① 도봉산 트레킹

▲ 신선대에 오르자 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이 펼쳐졌다. 특히 만장봉·선인봉의 우람한 자태가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였다.
시원시원한 도봉산의 산세는 보는 이들을 압도할 만큼 장엄했다. 산자락 곳곳에 솟아난 기암들의 늠름한 자태며, 골마다 깃든 수려함은 사람들의 마음을 홀딱 뺏어갈 만큼 아름다웠다. 그리하여 도봉산은 자신을 향한 일편단심 ‘도봉산파’를 만들었으니, 산의 능선에 서면 그 이유를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아름답고 경이롭기 때문이다.


한북정맥의 마지막 줄기는 장엄했다. 한북정맥이 한강과 임진강을 앞두고 마지막 기세를 떨친 도봉산(道峰山, 740m). 눈과 마음을 현혹시키는 저마다의 조각품들은 마지막이라 더욱 웅장하고 마지막이라 더욱 경이롭다. 끝을 향해 달려가는 거대한 암릉의 클라이맥스가 바로 도봉산인 것이다.

도봉산은 2천만 수도권 시민들의 쉼터이자 허파다. 주말이면 산을 찾는 등산객들로 정체현상까지 일어나니, 그 인기가 실로 대단하다. 지난해 북한산국립공원 방문객은 863만 명, 도대체 무엇이 이 많은 사람들을 산으로 불러 모으는 것일까. 아마 도봉산의 불꽃같은 산세 때문이리라.

도봉산의 산세는 우이남능선~도봉주능선~포대능선~사패능선으로 이어지는 주능선과 보문능선·다락능선·오봉능선·송추능선 등 주능선에서 빠져나온 지능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원시원한 암릉의 파노라마와 남성적인 암봉의 기개는 같은 국립공원에 속해있지만 우이령 너머의 북한산과는 사뭇 다른 남성적인 정취를 자랑한다. 더욱이 자운봉(740m)과 선인봉(708m)·만장봉(718m) 일대의 우람한 풍채는 보는 이들을 압도할 만큼 웅장하다. 뿐만 아니라 자운봉 서쪽에 다섯 개의 봉우리가 옹기종기 모여 있는 오봉(660m)까지, 동서남북 어느 쪽으로 고개를 돌려도 불꽃같은 암봉이 눈을 마주치며 인사를 건넨다.

‘푸른 하늘에 깎아 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선인의 시구처럼 도봉산은 예로부터 경기의 금강산이라 불렸다. 원도봉계곡·송추계곡·도봉계곡·회룡골 등 수려한 계곡까지 어우러져 사시사철 변화무쌍한 표정을 보여주는 도봉산은 지금 어떤 표정일까.

▲ 보문능선으로 오르는 길, 도봉산의 웅장한 암릉이 수시로 얼굴을 드러냈다.

암봉 조망하는 보문능선길
지하철 1호선 도봉산역을 나서자 코끝까지 찡한 추위가 밀려와 옷자락을 다시금 여민다. 역에서 15분 거리의 도봉탐방지원센터를 지나자 갈림길이 보였다. 오른쪽 길을 따르면 경찰산악구조대를 거쳐 정상까지 곧바로 오를 수 있지만, 도봉주능선의 수려한 조망을 조금 더 만끽하고 싶어 왼쪽 길로 접어들었다.

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도봉사를 지나면 본격적인 산길. 체육공원을 지나 능선길로 접어들자 따스한 햇살이 등산로를 감싸왔다. 기온은 낮지만 바람 한 점 불지 않는 청명한 날씨다. 완만한 능선을 따라 고도를 높이자 오른쪽으로 보석처럼 반짝이는 선인봉·만장봉·자운봉의 거대한 암봉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계속된 오르막이지만 수시로 얼굴을 드러내는 암봉의 자태에 발걸음이 가벼워졌다.

다락능선과 포대능선이 암릉길인데 반해, 보문능선은 완만한 흙길이 이어져 산행하기가 훨씬 편안하다. 도봉주능선을 앞두고 산길이 조금 가팔라졌지만 사방으로 조망되는 도봉산의 산세에 힘든 것도 잠시다. 산행을 시작한 지 1시간, 산길이 도봉주능선에 닿았다. 이곳부터 신선대~포대능선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은 도봉산의 장쾌한 산세가 시원하게 드러나 눈맛이 일품인 구간이다.

▲ 도봉주능선에서 오봉과 정상 갈림길. 정상 방향으로 직진해 능선을 따랐다.
주능선 삼거리에서 오른쪽 정상 방향으로 접어들자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등산객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도봉산을 제 집처럼 드나드는지 이정표도 보지 않고 제 갈 길만 열심히 갈 뿐이다. 등산객들의 속도에 맞춰 목적지를 향해 발길을 재촉했다. 사람의 마음은 왜 이리 경망스러운지, 정상을 밟기 전까지는 늘 쫓기듯 목적지를 향하니 말이다.

오르락내리락 능선의 춤사위에 손과 발이 바쁘게 움직였다. 주능선을 따라 10여분 걸으니 오봉과 주능선 갈림길, 오른쪽 주능선 산길로 접어들었다. 이따금 너럭바위 전망대가 나타나 오봉과 자운봉 일대의 그림 같은 전망에 눈이 호사스럽다. 갈림길에서 20여분을 오르자 5거리다. 왼쪽은 오봉능선길, 오른쪽은 거북골과 용어천계곡으로 빠지는 하산길이다. 직진해 칼바위 지대로 접어들었다.

아찔한 암릉구간에는 우회로가 조성돼 있었다. 장비를 갖춘 리지꾼들이 아니라면 우회로로 돌아가는 것이 안전하지만, 휴일이면 가끔 확보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산행객들이 목숨을 걸고 바위를 타기도 하는 구간이다. 그래서 도봉산에서 사고가 가장 빈번한 장소가 칼바위능선이다.

우회로로 접어들자 내리막길이다. 햇살이 들지 않은 탓인지 길이 미끄러워 아이젠을 착용하고 산길을 따랐다. 칼바위능선 지대를 크게 돌아가자 산길이 다시 주능선에 닿았다. 이제 암릉도 더욱 거칠어 난간을 붙잡아야하는 구간이 계속 이어졌다.

▲ 주능선에서 바라보니 북한산 인수봉과 백운대를 비롯해 국립공원 내의 웅장한 산세가 시원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도봉산 최고 전망대, 신선대
전문장비 없이 두 발로 오를 수 있는 도봉산의 정점은 신선대(725m)다. 실측상의 정점은 자운봉이지만 장비를 갖추고 올라야하는 암벽등반 코스이기 때문에 일반 산행객들은 자운봉 대신 신선대에 올라 정상의 감흥을 만끽한다. 자운봉과 불과 15m 차이밖에 나지 않아 북한산과 도봉산의 산세가 사방으로 조망되는 포인트다.

난간을 붙잡고 한참의 실랑이를 한 끝에 도착한 신선대. 그곳에는 이미 경이로운 풍광을 음미하는 등산객들이 여럿이다. 가장 먼저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도봉주능선 너머로 보이는 북한산 전경이다. 생기 넘치는 얼굴로 도봉산을 마주보고 있는 인수봉과 북한산 최고봉 백운대, 우뚝 솟은 만경대와 문수봉이 웅장한 자태를 드러냈다. 시선을 가까이 하면 ‘도봉산이 최고’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운 우이암부터 자운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의 기세도 대단하다.

▲ 정상으로 향하는 능선길은 계속된 암릉 구간이다. 난간을 붙잡고 수시로 오르내려야 신선대를 밟을 수 있다.
고개를 동쪽으로 돌리자 뽀얀 얼굴을 드러낸 자운봉 주위로 만장봉과 선인봉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우람한 풍채를 자랑하고 있었다. 그 너머로 노원구·도봉구·중랑구 일대의 성냥갑 같은 아파트 숲이 대치되는 모습도 색다르다. 지하철이나 버스 한 번 타면 오를 수 있는 도봉산을 지척에 뒀으니 수도권 시민들이 ‘산복(山福)’ 하나는 타고났나보다.

신선대를 내려와 포대능선으로 접어들었다. 신선대에서 포대능선으로 이어지는 암릉 구간은 짧은 거리지만 험준한 지형 탓에 우회 탐방로가 조성된 구간이다. 하지만 역동적인 암릉 구간이야 말로 도봉산 산행의 핵심이 아닐까. 취재진은 포대능선 Y계곡을 지나기로 했다.

수직에 가까운 암릉 구간을 지나야 하는 길, 난간을 붙잡고 조심스럽게 발걸음을 옮겼다. 이 구간은 경사가 급하고 길이 좁은데다 양방향 통행이 어려워 상습적으로 정체현상이 일어난다. 등산객이 몰릴 경우 큰 혼잡이 빚어지고 자칫 추락 등 안전사고 위험이 있어 국립공원에서는 지난 가을부터 주말과 공휴일에는 포대정상에서 신선대 방향으로 일방통행만 허용하고 있다. 신선대에서 포대능선 방향으로 산행할 경우에는 우회로를 이용해야한다.

▲ 신선대로 오르는 암릉 지대. 난간을 붙잡고 올라야할 만큼 가파른 암릉길이다.
포대정상을 지나 1시간가량 바위 능선을 몇 번 오르내리는 사이 산불감시초소 앞 안부에 도착했다. 직진하면 주능선을 따라 사패산까지 이어지고, 오른쪽으로 빠지면 계곡길을 거쳐 망월사역으로 하산하는 코스다. 당초 계획대로 오른쪽 계곡길로 내려서 주능선을 벗어났다.

계곡으로 들어서자 웅장하고 장쾌한 산줄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조물주가 빚어 놓은 기이한 생김새도, 준엄한 산세가 가져다주는 포근함도 이제 다음으로 미뤄야했다. 하지만 무엇이 문제인가. 언제 어느 때든지 지하철에 몸만 실으면 도봉산 자락에 들어설 수 있는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