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속에 펼쳐진 부처의 세계”
“안개 속에 펼쳐진 부처의 세계”
  • 글·김경선 기자l사진·이소원, 이두용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OREA TRAVEL : 서산 ① 가야산 트레킹

서산 가야산은 능선에 붙으면 내륙의 높은 산이 부럽지 않은 조망을 자랑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취재팀이 가야산을 찾은 날은 운무가 가득해 멋진 조망을 볼 수가 없었다. 대신 안개 뒤덮인 고요한 산길을 걸으며 사색의 시간에 흠뻑 빠질 수 있었다.
 

▲ ‘백제의 미소’로 불리는 서산마애삼존불상. 삼존불의 미소를 바라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호젓한 산길은 사람의 마음을 잡아끄는 묘한 기운이 있다. 걸어도 걸어도 고요한 길, 잠시나마 자연과 나와의 만남이 존재한다. 서산 가야산(678m)이 그랬다. 물론 충청도를 대표하는 산 중의 하나로 사시사철 인기가 많지만, 안개가 휩싸인 가야산은 그날따라 한적했다.

충남 서산과 예산에 걸쳐있는 가야산은 해인사가 자리잡은 합천 가야산(1430m)의 유명세에 가려 덜 알려졌지만 ‘백제의 미소’로 불리는 서산마애삼존불과 개심사·보원사지·일락사 등의 문화유산을 품고 있어 어느 하나 꿀릴 것이 없는 명산이다. 기록에 의하면 가야산 자락에는 개심사를 비롯해 가야사·수덕사·보원사 등 100여 개 사찰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가야사와 보원사는 폐사되고 개심사와 수덕사·일락사 등이 남아있다.

조선시대 최고의 인문지리학자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충청도 내포를 명당으로 소개하고 있다. 내포는 지금의 서산과 예산·홍성·당진·태안·아산 등 10개 고을을 가리키는데 그 중심에 가야산이 우뚝 솟아 있어 내포문화권의 핵심을 이룬다.

▲ 석문봉으로 오르는 길, 등산로가 갑자기 운무에 휩싸였다. 뿌옇게 흐릿한 산길을 걷는 것도 나름 운치가 있었다.

온화한 ‘백제의 미소’, 서산마애삼존불

가야산은 해발 700m가 채 안 되지만 남북으로 이어진 능선이 길어 산행이 결코 녹록치 않은 산이다. 취재팀이 산행하기로 한 용현자연휴양림~석문봉~가야봉~일락산~개심사~보원사지를 거치는 원점회귀코스 역시 7시간이 소요되는 짧지 않은 구간이다. 자연휴양림이 있는 용현리 들머리는 예산군 상가리에 비해 산행객들의 발길이 적지만 서산마애삼존불과 보원사지, 개심사 등 백제 불교 예술의 진수를 덤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른 아침 차로 이동해 용현리에 들어서자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48호) 안내판이 눈에 띄었다. 잠시 차를 세우고 안내판을 따라 용현계곡을 건너자 산기슭을 따라 낙엽이 수북하게 쌓인 돌계단이 이어졌다. 수행하는 마음으로 돌계단을 오르니 인바위 절벽에 조각된 서산마애삼존불상이 취재팀을 반긴다.

백제 후기에 만들어진 서산마애삼존불은 가운데 석가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미륵반가사유상,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입상(관음보살로 보는 견해도 있다)이 조각돼 있다. 현재(석가)와 미래(미륵), 과거(제화갈라보살)를 표현한 삼존불은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한 불상의 형태라고 한다.

서산마애삼존불의 가장 큰 매력은 석가와 보살의 얼굴에 만연한 미소다. 7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불상들이 얼굴에 미소가 사라지고 근엄한 표정을 짓는 데 비해 삼국시대의 불상은 대게 미소를 띠고 있다. 그 중 서산마애삼존불의 미소는 단연 으뜸으로 평가된다.

가까이 다가가 불상의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니 ‘백제의 미소’라는 별칭이 당연하다. 절대자의 근엄함 대신 인간미가 물씬 풍기는 석가의 미소는 둥글고 복스러운 얼굴에서 환하게 빛나고 있었다. 마애삼존불을 가리켜 ‘백제의 미소’라는 별칭을 붙여준 미술학자 삼불(三佛) 김원용 선생은 이 미소를 보고 “얼굴에 천진난만하고 낙천적인 소녀 같은 웃음이 흐르고 있다”고 경탄했다.

▲ 일락산으로 향하는 능선길에서는 서산 해미면 일대가 한눈에 조망된다.
서산마애삼존불상이 무엇보다 신기한 것은 아침에 해가 비치면 환한 미소를 짓고 한낮에는 미소가 사라졌다 다시 저녁이 되면 미소가 살아난다는 점이다. 이는 삼존불이 빛의 방향에 따라 표정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사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삼존불은 자연그대로의 미소를 지을 수 없었다. 1965년 삼존불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보호각 때문이다. 다행이 보호각이 자연통풍과 채광을 막아 훼손을 가속화시킨다고 우려돼 2007년 보호각을 없앤 후 삼존불은 자연스러운 미소를 다시 찾았다.

부처의 자애로운 미소를 가슴에 담고 다시 차에 올랐다. 삼존불 입구에서 계곡 안으로 1km 정도 들어가니 오른쪽으로 보원사지다. 계곡가 답지 않게 제법 큰 들판이 분지를 이룬 곳에 터를 잡은 보원사는 백제 때 창건된 이후 통일신라와 고려왕조를 거쳐 세를 확장하다 조선시대에 폐사돼 지금은 석물들만 남아있었다. 예전에는 계곡 일대가 전부 보원사의 영역이었다는데 거대한 당간지주(보물 제103호)며 오층석탑(보물 제104호)·법인국사보승탑(보물 제105호)·법인국사보승탑비(보물 제106호) 등 예사롭지 않은 유물들만 봐도 그 영화가 짐작된다.

하나하나 꼼꼼히 살펴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산행 하산지로 다시 찾을 곳이기에 본격적인 산행을 위해 용현자연휴양림으로 차를 돌렸다. 휴양림 관리소를 지나 산림휴양관까지 올라가니 차단기가 길을 막아섰다. 더 이상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임도다. 여기서부터 석문봉 갈림길인 사잇고개까지는 임도를 따라야했다.

취재팀은 산림휴양관 주차장에 차를 대고 차단기를 지나 임도를 걷기 시작했다. 용현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임도는 늦가을의 정취가 완연하다. 길옆으로 낙엽이 수북하게 쌓인 용현계곡도 산행의 운치를 더해주고 있었다. 이른 아침이라 그런지 등산객 하나 없는 고즈넉한 산행길이다.

임도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와 흙길이 번갈아가며 나타났다. 완만한 길을 편안하게 걸어가다보니 1시간30분만에 사잇고개에 도착했다. 사잇고개는 석문봉과 일락산, 일락사로 갈리는 사거리다. 임도를 따라 고갯마루를 넘어가면 일락사, 서쪽 산길을 따르면 일락산, 남쪽 산길을 따르면 석문봉(653m)이다. 취재팀은 남쪽 산길로 들어서 석문봉으로 향했다.

▲ 일락산 정상에서 바라본 해미면 일대. 오른쪽으로 일락사가 보인다.

내포 전망대 역할하는 석문봉

석문봉으로 향하는 등산로는 경사가 제법 가팔랐지만 등산로 주변에 늘어선 울창한 소나무가 힘을 돋워줬다. 그런데 가야산의 소나무는 어느 하나 곧은 나무가 없다. 죄다 용틀임을 하듯 뒤틀린 모습이 특이하다. 꿈틀거리는 소나무를 감상하는 것도 잠시, 등산로가 갑자기 운무에 휩싸였다. 그러자 꿈틀대던 소나무들이 승천하는 용처럼 보였다.

가야산 주능선에 오르면 서해가 훤히 조망된다기에 잔뜩 기대를 품었는데, 갑작스러운 안개로 조망은커녕 한치 앞도 분간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뿌연 안개를 헤치며 끝없이 이어지는 오르막을 걸었다. 수려한 조망을 볼 수는 없지만 흐릿한 산길을 걷는 것도 제법 운치가 있었다.

사잇고개를 출발해 된비알을 30분 정도 걸은 뒤 석문봉 정상이다. 여전히 운무 때문에 아무 것도 보이지가 않았다. 날이 맑을 때면 서산 해미읍 일대와 가야봉으로 이어지는 마루금, 서해바다의 수평선이 시원하게 조망되겠지만, 오늘은 아니다.

가야봉으로 향했다. 암봉인 석문봉을 내려서는 길은 다소 험해 고정 로프가 설치돼 있었다. 암릉 구간을 20여 분 걸으니 등산로가 순해졌다. 612봉과 609봉을 지나자 가야봉과 상가리로 나뉘는 삼거리다. 직진해 가야봉으로 향했다. 여기서부터는 제법 된 오르막길이다. 20분을 꼬박 된비알을 걸어 가야봉 정상 밑 바위에 도착했다. 가야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가야봉은 충남 해안에 솟은 산 중 오서산(790m) 다음으로 높은 산이지만, 여러 통신중계소가 정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가야봉에서나마 시원한 조망을 기대했건만 뿌연 시계는 감흥을 반감시켰다. ‘기다리면 나아지지 않을까’ 싶어 바위에 한참을 앉아 있었지만 안개는 여전히 걷힐 줄을 몰랐다. 한 이삼십 분쯤 흘렀을까? 더 이상 기다리는 것이 무의미했다. 사잇고개까지는 시계가 좋았던 것을 떠올리며 서둘러 일락산(516m)으로 향했다.

▲ 아담하고 소박한 개심사. 늦가을 정취가 가득했다.

아름다운 백제 고찰 개심사

왔던 길을 되짚어 석문봉을 거쳐 사잇고개에 도착했다. 운무가 가야봉~석문봉~옥양봉 마루금을 넘어오지 못했는지 일락산 부근은 한결 맑았다. 사잇고개 갈림길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길을 따라 20여 분 올라가니 일락산 정상이다. 서해까지는 보이지 않아도 해미와 운산면 일대는 한 눈에 조망돼 갑갑했던 가슴이 일순간 뻥 뚫렸다.

정상에서 능선을 따라 계속 북쪽으로 향했다. 30분 가량 걸으니 삼거리다. 보원사지와 황락리, 일락산으로 나뉘는 갈림길이다. 보원사지 방향으로 직진해 400m를 더 걸어가니 왼쪽으로 개심사 방향 산길이 보인다. 여기서 개심사까지 내려가는 데는 약 15분이 걸린다. 절집을 구경하는 시간까지 40~50분을 더 투자해 개심사를 보기로 결정했다.

개심사는 작지만 아늑하고 정갈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절집이다. 이렇게 작은 사찰이지만 전 문화재청장인 유홍준 교수가 꼽은 5대 명찰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을 만큼 개심사에는 기품과 아름다움이 있다. 특히 절집 앞마당의 직사각형 연못,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살린 기둥이 자연스러운 심검당(尋劍堂) 등은 개심사에서 빼놓지 말아야할 감상 포인트다.

개심사의 고운 자태를 뒤로 하고 다시 산길을 따랐다. 20분 정도 올라가니 개심사로 하산을 시작했던 자리다. 이곳에서 오른쪽 보원사지 방향으로 들어섰다. 평지처럼 순하고 평평한 길을 40분 정도 걸었을까. 이제 저 멀리 보원사지와 민가가 눈에 띈다. 시계를 확인하니 꼬박 7시간이 넘게 걸린 기나긴 산행길이다.

강렬하진 않지만 여운을 남기는 백제인들의 숨결을 따라 걸었다. 비록 주변 조망은 크게 즐기지 못했지만 내포지방 지킴이를 뒤덮은 안개 속을 걸으며 부처의 품 같은 아늑함을 느낄 수 있던 산행이었다. 멋진 산세와 서산 간척지, 서해 수평선 조망은 다음으로 미룬 채 우리는 포근한 부처의 품을 서서히 빠져나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