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화관을 쓴 관악산을 아시나요?
불꽃 화관을 쓴 관악산을 아시나요?
  • 글·김경선 기자l사진·이소원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푸마와 함께하는 KOREA TRAVEL 서울 강남 ① 관악산 트레킹

서울대입구~호수공원~연주대~사당역…9km 5시간 소요

▲ 정상으로 향하는 능선길, 기상관측소 너머로 정상 연주대가 보인다.
관악산은 꼭대기가 마치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것 같다고 하여 ‘갓 모습의 산’이란 이름을 얻었다. 능선에 서면 산의 이름은 현실이 된다. 이름처럼 빼어난 수십 개의 봉우리와 바위들, 오래된 나무가 불꽃처럼 이글거리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관악산(冠岳山, 632m)을 가리켜 “불꽃 같다”고 말한다. 사실 수도권에만 하더라도 북한산(836m)이나 도봉산(740m), 수락산(638m) 같은 바위산이 많은데 유독 관악산을 가리켜 ‘불꽃 같다’ 했을까. 그 답은 관악산 연주대에 서 보면 알 수가 있다.

크고 우람한 바위 대신 길쭉길쭉 날카로운 바위가 늘어선 관악산의 산세는 불꽃처럼 정열적이다. 이런 이유로 관악산은 풍수적으로 화기(火氣)가 센 산으로 여겨졌다. 조선을 건국할 당시 무학대사는 관악산을 눈엣가시로 여겼다. 한양을 새 도읍지로 정하는데 주산인 북악산에 비해 남쪽에 떡 하니 자리한 관악산의 기가 너무 센 것이다. 무학대사는 관악산의 화기를 꺾고자 관악산 자락 호암산 정상에 연못을 팠고 바로 옆에 해태상을 만들어 관악산의 화기가 경복궁으로 향하는 것을 막았다.

▲ 관악산 주능선이 가까워 올수록 계곡길이 점차 가팔라졌다.
휴일은 등산객들로 북적
역사적인 평가가 어떠하든 관악산은 예나 지금이나 수도권 시민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산임에 틀림없다. 평일·주말을 가리지 않고 늘 등산객들로 북적이니 말이다. 알록달록한 등산복을 차려입은 등산객들은 일상의 스트레스를 날리고자, 또는 건강을 지키고자 산을 오른다. 취재진이 산을 찾은 일요일 오전에도 관악산의 가장 대표 들머리인 신림동 서울대입구에는 등산객의 행렬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서울과 경기도 경계에 자리한 관악산은 서울대입구를 비롯해 사당, 과천과 안양유원지, 시흥동 일대에 들머리가 있다. 이중 산행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들머리는 서울대입구와 사당 들머리다. 지하철과 연계해 산행을 할 수 있고, 1~2시간만 오르면 관악산의 산줄기를 한 눈에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취재진이 산행할 구간은 서울대입구에서 정상을 거쳐 능선을 따라 사당역으로 하산하는 코스로 관악산을 찾는 등산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구간이다.

▲ 정상을 코앞에 두고 산길이 험해졌다. 거대한 암릉지대는 밧줄이 설치돼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5분여를 걷자 시계탑이 서 있는 만남의 광장이다. 시계를 보니 오전 9시, 광장에는 일행을 기다리는 등산객들이 가득하다. 광장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가벼운 마음으로 등산객들의 행렬을 뒤쫓았다. 휴일을 맞아 산을 찾은 젊은 부부나 왁자지껄 수다삼매경에 빠진 동호회 회원들도 보이고, 아빠의 손을 꼭 붙잡고 산을 오르는 아이들도 있었다. 하나같이 신이 난 표정이다.

초입부터 계곡 우측으로 완만한 포장도로를 따랐다. 그렇게 10여분을 걸으니 호수공원. 산길은 호수공원을 기점으로 갈렸다. 직진하면 무너미 고개, 왼쪽 방향은 정상 방면이다. 왼쪽 길로 접어들자 포장도로가 끊기고 본격적인 산길이 나타났다.

계곡을 따르는 산길은 서서히 고도를 높여갔다. 편안하게 오를 수 있는 완만한 산길이다. 30여 분 정도 편안히 길을 따랐을까. 계곡의 길이 구불구불 험하게 표정을 바꿨다. ‘관악산은 순한 산이구나’ 하며 올라왔던 것을 비웃기라도 하듯 산은 가파른 오르막을 연이어 펼쳐 놓았다. 꼴딱꼴딱 호흡을 삼키며 힘겨운 발걸음을 내딛는 동안 계곡은 크고 작은 폭포와 소를 내보이며 등산객들을 위로한다.

▲ 길쭉한 창을 여러 개 겹쳐 놓은 듯한 연주대 위로 암자가 들어서 있다.

아찔한 절벽 위에 앉은 암자 
산길은 주능선을 코앞에 두고 바짝 곧추섰다. 능선이 손에 보일 듯 가까운데 산길이 어찌나 가파른지 발걸음이 자꾸 더뎌졌다. 등산객들의 발길이 다듬은 자연 계단을 하나씩 올라 나무계단을 지나자 드디어 주능선 안부에 닿았다. 안부에서 정상 연주대 방면으로 능선을 따르니 시야가 탁 트이며 관악산 주변 산군과 수도권 일대가 한 눈에 들어왔다. 기기묘묘한 바위 절벽 위에 앉은 연주대 암자도 손에 잡힐 듯 가깝다. 정상 앞으로 인공물인 기상관측소 건물과 탑이 흠이라면 흠이다.

▲ 거대한 너럭바위 위에 관악산 정상 표지기가 서 있었다. 정상은 주말을 맞아 산을 찾은 등산객들로 몹시 붐볐다.
정상으로 향하는 능선은 뾰족뾰족한 암릉길이다. 하지만 아찔한 재미가 있고 장쾌한 조망이 있어 등산객들은 가다 쉬다를 반복하며 경치를 감상하기 바쁘다. 능선길을 따라 20여 분을 걸으니 기상관측대를 지나 정상이다.

자연 바위벽인 정상 지대는 10여 개의 길쭉한 바위가 연결된 모양으로 50m가 넘는 바위벽이 3면으로 둘러싸인 형태다. 바위벽 한쪽 끝에는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암자가 용케 자리 잡고 있었다. 암자는 정상에서 좁은 바위틈새를 5분 정도 내려서면 나타나는데, 찾는 등산객들은 많고 길은 좁아 수시로 정체현상이 일어가는 구간이다.

거대한 정상 바위에는 등산객들이 빼곡했다. 각자 다른 길을 통해 올랐을지라도 목적지는 이곳 연주대기 때문이다. 시간이 갈수록 등산객들이 늘어났다. 정상에서 북쪽 사당 방면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관악산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항상 등산객들로 붐빈다. 정체가 심해지기 전에 사당 방면으로 서둘러 길을 나섰다.

▲ 관악산 능선길에 서면 서울 시내와 경기도 일대가 시원스럽게 조망된다.

아찔한 암릉 이어지는 능선길
정상에서 내려서면 산길은 역동적인 암릉길이다. 쇠사슬이 줄지어 설치돼 있을 만큼 위험한 구간이기도 하다. 쇠밧줄을 붙잡고 내려가기도 아찔한데 끊임없이 올라오는 등산객들 때문에 진행이 자꾸 더뎌졌다. 위험구간을 내려서면 능선은 고도를 조금씩 낮춘다. 능선 왼쪽으로 시원한 한강의 물줄기도 수시로 나타나고 청계산도 마주보며 인사를 건넨다.

잠시 뒤 바위 문인 관악문을 지나 10여 분을 내려서자 삼거리다. 오른쪽 길은 연주암으로 내려서는 길이라 직진해 559봉을 우회했다. 기기묘묘한 바위들을 감상하며 내려서는 길, 능선을 가득 메운 등산객들의 입에서 탄성소리가 끊이질 않는다. 빈틈없는 도시의 생활에서 벗어나 잠시나마 자연과 벗 삼는 산행길에서 만난 호사스러움이다.

▲ 힘겹게 관악문을 지나고 있는 산행객들.
414봉을 지나면 평지처럼 편편하고 널찍한 마당바위다. 많은 등산객들이 식사를 해결하고 잠시 쉬어가는 바위다. 마당바위에서 다시 10여분을 내려서자 기괴한 모양의 하마바위가 나타났다. 커다란 돌덩이가 서로 엉켜있는 모습인데, 유심히 살펴보니 정말 하마 형상 같기도 하다. 하마바위에 올라서자 맞은편으로 서울과 경기도를 가르는 산줄기가 한 눈에 들어왔다.

길고 긴 능선길에서 만난 관악산의 산세는 소문대로 화산(火山)이었다. 사방 어느 곳에서 바라봐도 불꽃처럼 넘실대는 웅장한 산세가 등산객들의 눈과 마음을 훔쳐갔다. 때로는 아기자기한 암릉으로, 때로는 위험천만한 절벽지대로 산행의 재미를 배가 시키는 관악산. 모든 능선에는 예외 없이 바위가 발달해 어느 등산로를 선택해도 암릉을 지나는 재미가 있었다.

산길 옆 앙상한 진달래가지에서 꽃눈이 봄을 기다리고 있었다. 4월이 되면 저 꽃봉오리에서 붉은 꽃잎이 터져 나와 산을 온통 물들이겠지. 관악산이 화사한 봄옷으로 갈아입을 때가 멀지 않았다는 생각에 기자의 가슴은 두근두근 설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