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REPORT | Part 3 중국 진출 한국 관련 브랜드 BIG4
“중국인 마음을 움직이는 디자인·기능성이 승부수”
중국 대륙에서는 <오자크(OZARK)> <토레드(探路者)> <카일라스(Kailas)> 같은 로컬 브랜드부터 <노스페이스> <컬럼비아> 등의 빅 브랜드, 그리고 한국에서 진출한 <밀레> <블랙야크> <코오롱스포츠> <트렉스타>까지 전 세계의 아웃도어 브랜드를 모두 만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 아웃도어 시장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베이징(北京)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한국 발(發) 브랜드들을 만나보았다. 본격적으로 몸 풀기를 시작하는 아웃도어 신대륙 중국에서의 생존비법, 그리고 성장목표에 귀기울여보자.
1998년 우리나라 최초로 중국법인 설립…
동진레저(대표 강태선)에서 전개하는 한국 토종 브랜드 <블랙야크(Blackyak)>는 공식적으로 1998년 중국시장에 북경블랙야크유한공사(Blackyak Outdoor Products Co.,Ltd.)라는 이름으로 법인을 설립했다. 요즘에도 중국에서는 흔치 않은 단독매장을 베이징에 오픈하면서다. ‘중국 아웃도어의 공백기’라고 불리던 당시는 중국 아웃도어 로컬 브랜드 <오자크(OZARK)>가 조금씩 일어서고 있었고, 현재 대륙을 물들이고 있는 <노스페이스>나 <컬럼비아>는 입성하기도 전이었다.
![]() |
2008년부터 북경블랙야크유한공사를 이끌고 있는 추이창시에(崔昌燮) 총경리의 말이다. 그는 한국 본사의 박진배 부장과 함께 <블랙야크>의 중국 시장을 담당하고 있다. 추이창시에 총경리는 중국 아웃도어 메카인 동북지역 길림성 출신으로 <블랙야크>의 현지화 정책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 |
![]() |
중국 아웃도어의 중심 베이징과 동북의 헤이룽장성(黑龍江省)·지린(吉林)·네이멍구(內蒙古), 북서부의 티베트(Tibet)·신강(新港)·시안(西安)·쓰촨(四川) 등에 자리한 60여 개의 백화점, 그리고 100여 개의 전문점에서 <블랙야크>를 만날 수 있다. 중국 지사 사무실에 근무하는 40명의 직원 중 한국인 4명을 빼고는 모두 현지인인 것도 ‘그간의 내공’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 |
“북경블랙야크유한공사의 경우 중국시장에 들어온 지도 10년이 넘었고 중국에서 자체로 원단을 소싱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니까 승산이 있다고 봅니다. 원단부터 디자인, 생산까지 전체 라인을 중국 내에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죠. 지금도 전체 물량의 70% 정도를 중국 내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습니다.”
<블랙야크>는 <컬럼비아> <노스페이스>와 비슷한 중고가로 대륙의 전문 산악인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로 안착했다. 박진배 부장은 “무엇보다 품질로 승부하고 싶다”며 “동진레저의 강태선 회장도 산에 다니고 전문 산악인들도 선호하는 브랜드이니만큼 산사람들의 끈끈한 정을 느낄 수 있는 브랜드로 자리 잡고 싶다”고 희망했다.
![]() |
“우선은 <블랙야크>의 전문성을 십분 발휘해 중국의 전문산악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 하고 싶어요. 더불어 일반인들이 산에 가려고 할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브랜드가 되고 싶다면 너무 큰 욕심일까요.”
저작권자 © 아웃도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