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재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산책길
과거와 현재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산책길
  • 글·박상신 ㅣ사진· 김세정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ORDIC WALKING TOUR | 인왕스카이웨이~창의문~탕춘대

경복궁역~사직공원~인왕스카이웨이~창의문~부암동~백사실계곡~탕춘대 코스…약 7km 4시간 소요

글·박상신 한국노르딕워킹협회(KNO) 헤드코치ㅣ사진·김세정 KNO 코치ㅣ장비협찬·메드아웃도어


▲ 인왕스카이웨이 중 활짝 핀 개나리꽃 터널을 걷고 있는 워킹팀.
경복궁역에서 회원들과 만나 스트레칭을 하기 위해 사직공원에 들어섰다. 워킹 시간이 길든 짧든 걷기 전 스트레칭은 필수다. 스트레칭으로 몸을 충분히 풀어주면 워킹 후에 근육이 뻐근해지는 현상을 없애주기 때문이다.

20여 분 정도 간단히 스트레칭을 마친 후 사직공원을 잠시 돌아보기로 했다. 공원 내에 있는 사직단(社稷壇)은 삼국시대에 건립돼 지금까지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곳이다. 토지를 주관하는 신인 사(社)와 오곡(五穀)을 주관하는 신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사직단은 임진왜란 때 담만 남은 채 파괴됐고 병자호란 때는 강화도로 옮겨지는 등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사직단은 매년 9월 제례가 행해지는 날 외에는 개방되지 않아 먼발치에서만 보고 돌아서야했다.

사직단 뒤편 계단으로 올라 단군성전 옆 숲길로 들어서자 인왕스카이웨이다. 인왕스카이웨이는 지금 산책로를 정비하는 공사가 한창이다. ‘과연 어떤 모습으로 변하게 될까?’ 궁금하면서도, 보행자들의 편리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너무 인공적인 길로 탈바꿈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 탕춘대 정상에 서자 서울이 한 눈에 내려다보였다.

인파로 북적이는 서울성곽길
한창 공사중인 길에는 복사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수줍은 듯 화사하게 꽃을 피워낸 복사꽃을 감상하며 걷다보니 도로 끝 정자 왼쪽으로 ‘윤동주 시인의 언덕’이 나타났다. 윤동주 언덕은 윤동주 시인이 부암동에서 하숙을 했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것이다. 언덕을 올라서자 왼쪽으로 창의문이 보였다.

▲ 신록이 물든 탕춘대 능선길은 완만하고 순해 산책하기 좋다.
사소문 중 유일하게 옛 것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창의문은 자하문 또는 북문이라고도 불린다. 과거에는 북대문인 숙정문이 항상 닫혀있어 북쪽으로 통행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이 문을 거쳤다고 한다. 인조반정 때는 이 문을 부수고 들어가 반정을 성공시킨 유래가 있고, 이런 연유로 누문 다락에는 인조반정 공신들의 이름이 새겨진 현판이 걸려 있었다.

최근 걷기 붐을 타고 서울성곽길, 김신조 루트길 등 새로운 북악산 산책길이 개방되면서 창의문에는 가족 단위로 성곽길을 찾은 사람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었다. 성곽에 올라서자 발밑으로 서울의 심장부가 한 눈에 펼쳐진다. 남쪽으로는 사대문 안쪽의 번화한 거리가, 북쪽으로는 아기자기한 카페와 주택가가 있는 부암동이 한눈에 보였다. 과거의 유물인 성곽 위에서 현대 문명을 바라보는 기분이 색다르다.

▲ 백사실터에서 파이팅을 외치는 워킹팀.
성곽을 내려와 부암동으로 들어섰다. 창의문 북쪽 마을인 부암동은 자그마한 카페와 갤러리가 하나둘 생겨나 제2의 삼청동으로 불리는 곳이다. 곳곳에 세워진 지도 안내판에는 부암동의 명소를 찾기 쉽게 표시해 놓아 산책 코스를 어렵지 않게 돌아볼 수 있도록 배려했다.

도심 속 청정계곡 백사실
능금나무 길을 따라 물방울 그림의 대가 김환기 화백을 기념하는 환기미술관과 드라마 <커피프린스>에 등장하는 ‘산모퉁이 카페’를 지나자 백사실 계곡이다. 몇 해 전 개방된 백사실 계곡 덕분에 부암동을 찾는 사람들이 덩달아 늘어났다고 한다. 아기자기하고 예쁜 동네 바로 옆에 울창한 숲과 계곡이 있으니 관광객들이 몰리는 것은 당연한 일. 계곡을 찾은 관광객들의 얼굴에서 ‘도심 가까이에 이런 숲과 계곡이 있었나’ 감탄하는 표정을 읽을 수 있었다.

백사실 계곡, 이곳의 정식 명칭은 백석동천(白石洞天)이다. 백석(白石)은 중국의 명산인 백석산에서 비롯되었고, 동천(洞天)은 산천으로 둘러싸인 경치 좋은 곳에 붙이는 명칭이다. 아마도 백석산만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의미가 아닌지 싶다. 더불어 이곳은 백사 이항복의 별장 터가 있어 백사실터라고도 하는데, 지금은 정자의 초석과 연못만 남아 있었다.

▲ 부암동에서 만난 오래된 방앗간이 정겹다.
계곡을 나와 세검정(洗劒亭) 방향으로 향했다. 세검정은 부암동과 홍지동, 평창동 등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사용되지만 본래는 정자 이름이다. 과거 연산군이 수각(水閣)·탕춘대(蕩春臺) 등과 함께 이 정자를 지어 흥청망청 놀았고 이후에는 시인묵객이 즐겨 찾는 명소가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의 거사 동지인 이귀·김류 등이 광해군 폐위 문제를 의논하고 칼을 씻은 자리라고 해서 ‘세검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세검정에서 상명대학 뒤쪽 길로 들어서자 세월의 무게를 느낄 수 있는 허물어진 성벽과 솔숲이 나타났다. 가파른 산길이 부담스럽다면 조용한 이 길을 와도 좋다. 코스를 좀 더 길게 잡고 싶다면 북한산성으로 연결된 길로 들어서거나, 백련산으로 이어서 걸을 수도 있다. 빡빡한 도심에서 여유와 위안을 얻는 방법이다.

계단에서의 스틱 사용 방법

계단을 걸을 때는 최대 체중의 4배에 달하는 하중이 무릎에 전달돼 부상을 당하기 쉽다. 이때 트레킹 폴을 사용하면 무릎에 부담을 줄여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계단을 걸을 때는 폴의 길이를 조절하기보다는 무릎을 조금씩 굽혀 무게 중심을 낮추는 것이 좋다. 특히 내리막에서 폴의 길이를 지나치게 길게 조정하면 폴이 휘청거려 안정감이 떨어진다.

중요한 것은 폴이 항상 발보다 지면에 먼저 닿아야한다는 점이다. 폴이 지면에 닿았을 때 그립을 잡지 말고 손바닥을 편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좋다.

폴은 한 개보다 두 개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안정으로 체중을 분산 시킬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