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낭에 넣고 이동하는 만큼 작고 가벼운 게 명품
배낭에 넣고 이동하는 만큼 작고 가벼운 게 명품
  • 글 이철규 | 사진 엄재백 기자
  • 승인 2011.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pecial Report 캠핑&백패킹_②백패킹 장비의 선택

▲ 배낭을 메고 걸을 때는 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힘이 덜 들고 편하다.

텐트는 가볍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야 하고 배낭은 하중을 분산시켜 줘야


오토캠핑과 달리 솔로캠핑이나 백패킹은 본인이 직접 배낭에 짐을 지고 이동하는 만큼 가볍고 부피가 작은 게 제일이다. 텐트의 경우 방수와 방풍은 물론이고 무게가 가볍고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바람이나 충격에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제품이라야 한다. 배낭은 등받이 부분에 땀이 차지 않는 제품이 좋으며 어깨는 물론이고 허리 벨트를 이용해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자동차를 이용하는 오토캠핑은 테이블이나 텐트 같은 장비를 직접 옮기는 것이 아니기에 무게나 부피에 대한 부담이 적다. 하지만 직접 짐을 지고 이동해야 하는 백패킹이나 카약, 산악자전거 등은 오토캠핑에 비해 무게와 부피에 대한 부담이 크다. 특히 백패킹은 배낭 안에 텐트와 코펠, 버너는 물론이고 의류와 수선구 등 캠핑에 필요한 모든 것을 지고 이동해야 하기에 무게와의 전쟁이 필요하다.

보통 백패킹 시 사용하는 텐트는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1인용이나 1~2인용 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물론 3~4인용 돔형 텐트 같은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여럿이 함께 팀을 이뤄 백패킹을 한다거나, 주로 2박 이상의 장기적인 산행이나 트레킹인 경우다. 1인용 텐트의 경우, 비박 겸용 텐트가 주류를 이루며 폴이 하나인 제품이 대부분이다.

소형텐트는 폴의 무게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이스턴(EASTON)의 키로 텐트(Kilo™ Tent)처럼 가벼운 카본 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있는가 하면 니모의 고고 텐트(GOGO LE™)처럼 알루미늄이나 두랄루민 같은 소재를 사용하던 기본의 폴과 달리 에어 빔에 공기를 넣어 폴을 대신하도록 한 제품도 있다. 또한 마운틴하드웨어의 해머헤드2(Hammerhead2)처럼 초경량 합금인 아틀라스7001 소재를 사용해 무게를 줄인 제품도 있다. 

특히 이스턴(EASTON)의 키로 텐트의 경우 총 무게가 1.17kg에 지나지 않으며 니모의 1~2인용 텐트인 머퍼(MORPHO) 2P™ 텐트의 경우 총 무게가 1.8kg에 지나지 않는다.

보통 백패킹용 소형 텐트의 폴은 두랄루민이나 카본, 알루미늄 합금이 주로 사용되며 앞에서 설명한 공기나 카본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소형 텐트는 강한 바람이나 악천후 상황에서도 바람과 비를 막아줄 수 있어야 배낭 안에 넣고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텐트 폴이나 펙은 배낭 양쪽 측면에 끼워 넣더라도 플라이나 이너텐트는 텐트 보관주머니에 넣어 수납할 수 있어야 한다.

파이버글라스 폴은 알루미늄에 비해 강도는 떨어지지만 가벼운 게 장점이며 알루미늄 제품은 충격이나 바람에 강한 것이 장점이다. 최근에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폴의 양쪽 끝 연결 부위만을 두껍고 만들고 그 외의 부분은 얇게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소형 텐트의 플라이는 폴리에스테르 립스탑 소재나 나일론 립스탑 소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내수압은 1500mm 이상인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는 립스탑 소재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플라이에는 이외에 내구성과 방수, 자외선 차단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코팅이나 폴리우레탄 코팅을 한다.

소형 텐트는 폴의 소재와 무게 외에 펙의 소재도 고려해야

▲ 백패킹용 소형 텐트는 가볍고 부피가 작아야 좋다. 또한 바람과 비를 막아줄 수 있어야 좋은 텐트다. 니모의 텐트들은 폴과 달리 에어 빔에 공기를 넣어 폴을 대신하도록 한 제품이다.
블랙다이아몬드의 피츠로이텐트와 같이 일부 소형 텐트의 경우 플라이와 이너의 구별이 없는 일체형 제품도 있다. 이는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블랙다이아몬드의 경우는 이너텐트가 없는 대신 텐트 내부에 생기는 결로 현상을 줄이기 위해 토드텍스(Todd-Tex)라는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소재는 방수와 방품 기능은 물론이고 안쪽에 소재는 얇은 부직포 같은 것을 덧대 결로현상을 줄인 것이다. 

텐트의 이너텐트 소재로는 폴리에스테르 립스탑 소재를 많이 사용하며 보통 3000mm이상의 내수압이 주류를 이룬다.

▲ (좌)최근에는 텐트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에어 빔이나 카본 ION폴을 사용한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펙은 가볍고 튼튼한 것이 좋으며 지지력이 높아야 젖은 땅에서도 텐트를 고정할 수 있다. (우)이스턴의 키로텐트에 적용된 카본소재의 ION폴과 에어록 시스템.이스턴의 펙 하나의 무게가 11g 정도로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이런 천의 소재 외에 관심을 두어여 할 부분이 텐트를 고정시켜 주는 펙이다. 텐트에 사용하는 소재나 천도 중요하지만 펙의 무게나 소재도 무시할 수 없다. 예전에는 소형 텐트에는 대부분 플라스틱 펙을 사용했지만 젖은 땅이나 겨울철에는 지지력이 약하다. 이에 최근 등장한 것이 알루미늄이나 두랄루민 소재를 이용한 관 모양의 펙이나 단조펙이다.

이스턴사가 내놓은 골드 텐트 펙은 무게가 11~15g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기능은 뛰어나며 코베아나 스노우피크가 내놓은 단조펙 역시 겨울철 언 땅이나 젖은 땅에서도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텐트와 더불어 백패킹을 즐기기 위해서는 짐을 지고 이동할 수 있는 배낭이 필수다. 일반 소형 배낭의 경우 당일 산행이나 1박 정도의 가벼운 산행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기에 적합하지만 그 이상의 경우는 50L 이상의 배낭을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백패킹이라고 해서 90L나 80L가 넘는 배낭을 구입하는 것은 오히려 부피와 무게만 무거워 트레킹 시 부담을 줄 수 있다. 

▲ 배낭을 멜 때는 어깨끈을 잡아 당겨 배낭의 무게의 의해 몸이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한다.
백패킹용 배낭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배낭에 넣은 짐의 무게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가 이다. 소형 배낭이야 별 상관이 없겠지만 중형 이상의 배낭은 어깨와 더불어 허리에 골고루 하중을 분산시켜야 한다.

때문에 배낭은 어깨가 아닌 허리와 온몸으로 지는 것이라고 한다. 소형 배낭이라도 어깨만으로 지는 배낭은 시간이 흐를수록 피로해지고 어깨가 아파온다. 어깨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어깨를 보호해주는 쿠션이 있어야 한다. 장시간 걷는 경우 배낭의 어깨끈은 시간이 지날수록 아래로 쏠리는 하중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지쳤을 때에는 어깨끈을 당겨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어깨끈과 더불어 허리벨트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켜야
두 번째는 어깨끈과 더불어 하중을 받쳐주는 허리벨트가 중요하다. 허리벨트는 자연스럽게 허리부분을 감싸주어야 하며 이는 배낭이 지닌 등판구조와 프레임이 중요하다. 프레임은 배낭의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주기 때문이다. 보통 많이 사용되는 것이 신체의 움직임을 따져보아 인체공학적으로 개발했다는 ‘X’자형 서스펜션이나 ‘V’프레임 ‘위시본 힌지 시스템’ 등이다.

배낭 업체가 개발한 이런 시스템들은 모두 인체구조에 맞게 디자인한 것으로 사람이 걸을 때의 사지 움직임을 고려해 허리에 힙 벨트를 둘러 하중을 받쳐주도록 한 것이다.

▲ 어깨끈은 배낭에 넣은 짐으로 인해 배낭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잡아준다. 배낭은 등반이 부분 메쉬를 대 통기성이 뛰어난 제품이 좋다.
백패킹용 중형 배낭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등판의 통기시스템이다. 배낭은 어깨끈을 당겨 몸에 밀착시키는 만큼 등받이 부분이 땀이 차게 된다. 이 땀이 차는 것을 줄여주는 것이 등받이 부분의 통기시스템으로 등받이 부분에 메쉬를 대 배낭과 등판에 공간을 두어 이 틈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한 것이다.
백패킹용 배낭은 당일 산행과 달리 다양한 자연조건을 경험하게 되는 만큼 악천후 상황에서도 배낭 내부에 있는 장비와 의류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배낭 커버가 달린 제품이 좋다. 물론 계곡 백패킹의 경우 배낭 내부에 비닐포를 넣어 안에 내용물이 젖지 않도록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배낭 커버를 이용해 배낭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좋다.

백패킹이나 오지캠핑 시 배낭을 패킹할 때는 가벼운 것을 밑으로 깔고 무거운 것은 위로 오도록 한다. 즉 침낭과 옷을 맨 아래에 넣고 그 위에 막영구나 취사구, 연료, 식량 등을 넣는 것이다. 맨 바닥에 침낭이나 옷을 넣어주면 하중에 의해 배낭이 아래로 쏠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자주 꺼내야 하는 물품이 윈드 재킷이나 카메라, 지갑 등은 배낭 제일 위쪽이나 배낭 헤드에 넣어 배낭을 풀지 않고도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백패킹과 트레킹 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인 신발은 발목을 잡아주고 무거운 중등산화 보다는 가볍고 발에 피로를 덜어주는 경등산화가 편하다. 겨울철 설상등반이나 거친 산행이 아니라면 경등산화로도 얼마든지 백패킹이나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경등산화는 발목까지 올라오는 중등산화에 비해 바닥창이 얇고 발목을 감싸는 목 부위가 짧다. 경등산화는 바닥창과 안창으로 이루어졌으며 중등산화는 바닥창과 안창 사이에 중간 창을 넣어 충격흡수력을 높인 것으로 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만든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경등산화는 가벼운 천을 사용한 제품이 많으며 발목을 잡아주지 못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등산화는 바닥창의 디자인과 착용감을 고려해 선택
중등산화도 마찬가지지만 등산화를 고를 때는 신발이 자신의 발 크기에 제대로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보통 신발을 신고 발가락을 앞으로 붙였을 때 발뒤축 부분에 새끼손가락 하나 정도가 들어가는 것이 적당하다. 이외에 생각해야 할 것이 발등과 발의 볼이 제대로 맞는가이다. 신발의 크기도 중요하지만 볼도 중요하다. 크기가 작은 신발은 발가락을 구부려 신을 수 있다지만 볼이 작은 신발은 어찌해볼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신발이 너무 발에 너무 잘 맞는 경우 발가락 사이에 공간이 없어 땀이 차기 쉽고 이는 겨울철 동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사실 발뒤축의 여유 공간은 맨발에 양말 등을 신을 때는 대비한 것이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등산화를 고를 때 꼭 챙겨봐야 할 것 중 하나로 바닥창을 꼽는다. 보통 즐겨 찾는 것이 비브람사의 바닥창으로 창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중등산화의 신발을 의미하는 말로 와전되기도 했다. 바닥창은 어떤 고무를 사용했는가도 중요하지만 신발의 바닥 부분을 미끄러지지 않게 디자인 했는가가 더 중요하다. 비브람사가 유명해진 것은 바닥창이 좋기도 하지만 미끄러지지 않도록 디자인을 잘 했기 때문이다.

비브람사 외에도 국내의 트렉스타의 하이퍼 그립 바닥창이나 K2 엠엑스그립이나 엑스그립, 컬럼비아스포츠웨어의 옴니그립 등은 신발이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안한 바닥창들 입니다. 

최근에는 경등산화에도 고어텍스 소재를 사용한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가벼우면서도 빠른 땀 배출을 통해 발의 피로를 줄여주고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다만 고어텍스 소재를 사용할 경우 가격이 너무 고가라는 것은 단점이다.

가벼운 트레킹에는 굳이 등산화를 챙기지 않아도 된다. 운동화 같이 가벼운 제품도 좋지만 등산화에 비해 발목이나 발가락 부분이 손상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 봄가을에는 경등산화 겨울철에는 중등산화를 사용하고 있는데, 겨울철은 발가락의 동상은 물론이고 눈으로 인한 방수는 필수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